첫 임금 이야기 인물로 보는 우리 역사 1
박윤규 지음 / 보물창고 / 2008년 4월
평점 :
절판


[왜?라는 역사적 의문을 시작하게 하는 책]

학교를 다니면서 역사 시간에 공부했던 방식을 찬찬히 돌이켜 보면 누구나 다 수긍할 점이 한 가지 있다. 우리는 역사의 수많은 사건의 나열을 중심으로 그것을 외우는데만 급급했다고 말이다. 역사적인 의의도 참고서나 선생님이 가르쳐주시는 1,2,3번에 밑줄을 쳐가면서 외웠던 것..그것이 바로 학교에서 역사를 공부하던 나의 모습이었다.

성인이 되어서 아이가 커감에 따라 조금씩 관심을 가지고 읽는 역사책은 나에게 새로운 역사를 바라보는 시각과 알아가는 즐거운 흥분감을 안겨주고 있다. 잘 모르던 사실을 알아가는 것도 그렇지만 기존에 내가 알고 있던 사관과는 다른 시각에서 역사를 비틀어보는 법을 배울 때는 정말 무릎을 탁 치게 된다. 알려주는 것을 얌전히 받아적고 있던 학창시절의 모습에서 벗어나는 새로운 기쁨이랄까?

보물창고의 [인물로 보는 우리 역사]시리즈가 처음 나왔을 때는 인물중심으로 역사적 사실을 나열하는 정도로 그치지 않을까? 그다지 이런 류의 다른 책들과 차별성이 있을까 반신반의했다. [명재상이야기]를 통해서 작가 박운규라는 인물에 대해서 상당히 호감을 갖게 된 것은 그가 역사를 바라보는 유연하고 능동적인 자세때문이다. 이미 [산왕 부루]를 통해서 그의 작품을 접하기는 했지만 창작동화보다 역사서를 집필하는 탁월한 능력이 가진 작가라는 생각이 들 정도이다.

[첫임금이야기]는 나의 식상한 역사관을 뒤집어 생각하게 하는 신선함에 탄성을 연발하면서 읽은 책이다. 재상들의 이야기에 앞서 첫임금 이야기를 먼저 낸 이유는 책을 읽은 다음에야 비로소 알게 된다. 단지 왕이기 때문에 순서적으로 먼저 온 것이 아니라 건국이념. 그 최초의 모습을 어떻게 파악하는가에 따라서 역사의 주체가 되는지 아닌지가 결정될 수도 있음을 감지할 수 있었다.

우리의 고대사의 시작인 최초의 국가를 단군왕검이 세운 고조선이라고 교과서에 기술한 것은 얼마되지 않는다 .그동안 건국신화라느니 하면서 애매모호한 자세로 우리 역사의 시작을 기술하던 태도가 그나마 강하게 바뀔 수 있었던 것은 중국의 동북공정에 대한 우리의 적극적인 자세를 요구하는 국민의 목소리라 한 몫을 했다는 건 누구나 다 알고 있다. 교과서.참으로 많은 문제를 안고 있지만 우리는 교과서를 통해서 배워왔고 그것이 정답인 줄 알기도 했다. 그렇지만 박운규님의 첫임금이야기를 읽다보면 늘 의심의 여지없이 알아왔던 역사가 혹시? 아닐 수도 있다는 여러 가변을 생각하게 한다. 그 비틀어보는 힘. 의문을 갖게 하는 힘이 바로 우리가 역사의 주체로 관심을 갖게 하는 하나의 요인이 된다고 본다.

고조선의 시작을 알리는 단군왕검의 야이기를 작가의 주관을 가지고 나름대로 재구성한 글을 읽는다거나 신화를 통해서 가늠해볼 수 있는 단군에 대한 여러 가설, 고구려를 벗어나 새로운 백제를 세우던 온조와 비류의 출생에 대한 다양한 가설과 그 장소 등 새로운 국가를 알리는 왕의 이야기 속에도 참으로 역사적 가설이 숨어있을 수도 있다는 것을 보면서 흥미롭게 접근할 수 있는 역사서라고 생각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