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주 보는 세계사 교실 2 - 비단길이 번영을 이끌다 (300년~1000년) 마주 보는 세계사 교실 2
최진열 지음, 서영아.김수현 그림 / 웅진주니어 / 2008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세계사의 번영을 가속시킨 유목민들의 힘]

 
한국사에 대해서는 많은 종류의 책이 출간된 반면 세계사를 공부하기에는 그에 비해 책의 가지수가 한참 부족하다는 생각을 하고 있었다. 그랬기 때문에 [한국사 편지]와 [한국사 탐험대 시리즈]를 통해서 처음 역사 공부를 하는 학생들 대상의 탄탄한 믿음을 쌓아 온 웅진의 세계사 시리즈라고 해서 기대를 잔뜩 하고 있었다. 

 문명의 기원을 다룬 1권에 이어 2권에서는 유목민 중심의 세계사를 맛볼 수 있다. 이제껏 우리가 교과서나 혹은 그 이외의 책들을 통해서 배워온 세계사의 흐름은 대부분 서양인들에 의해서 그들의 시각으로 쓰여진 역사였다. 그랬기 때문에 강자, 승자에 의해서 기술된 세계사의 단면을 본 적도 적지 않다는 생각이다. 이 책을 읽으면서 더욱 그런 생각이 들었다고 하면 과장된 표현일까?

 우선 2권의 제목인 [비단길이 번영을 이끌다]라는 제목에서도 알 수 있듯이 이 책에서는 동서양의 교류 ,그것을 이룬 유목민들의 길, 상인들의 길인 비단길이 주를 이루게 된다. 유목민들의 삶을 중심에 놓고 동서양의 교류가 물꼬를 틀 수 있었던 과정을 그렸기에 그동안 비중적으로 유럽의 로마 역사에 무게감을 두었던 역사와는 다른 느낌으로 받아들일 수 있지 않았나 생각된다. 바로 승자의 눈으로 기술한 세계사가 아니라 한국 사람의 시각으로 기술한 좀더 객관적인 세계사이기 때문이 아닐까 싶다.

 중국에서 새로운 힘으로 급부상한 흉노족이 한족과 대립하면서 대대적인 이동을 시작하고 그로 인해서 서아시아와 동유럽의 게르만족까지 이동하게 만들고 그 여파로 이동한 게르만과 서로마가 대립하고 붕괴하는 과정은 일련의 파노라마를 연상시킨다. 조각조각 배웠던 세계사의 앞뒤 아귀가 들어맞으면서 흝어졌던 퍼즐 조각을 맞추는 느낌이 든다. 밑줄을 쳐가면서 외워가던 세계사가 아니라 흐름을 따라서 읽어가는 세계사가 머릿속에 그림 그려지니 요즘 아이들은 정말 공부하기 좋겠다는 생각이 든다.

 붕괴된 동로마 자리에 들어선 서산조 페르시아가 서로마인 비잔티움 제국과 쌍벽을 이루면서 발전해 가는 과정은 이슬람 문화와 크리스트 문화가 대립을 이루면서 발전하는 양상을 고스란히 엿볼 수 있었다. 지금의 이슬람권이 형성되고 이들의 아랍어라는 공용어를 사용하고 새로운 무역로를 만들고 개척해 가는 과정을 통해서 교역망의 발달은 단순한 교통로의 발달과는 차원이 다른 문화과 언어 등 모든 면에서 화합 상승작용을 한다는 것도 알 수가 있었다.

 중간 중간 해박한 지식의 지은이가 서술하는 것을 정리하듯 따라나오는 지도의 설명은 곳곳에 숨은 통합적인 자료를 한번에 훑어 볼 수 있는 계기가 되어서 마음에 들었다. 지돌 자료를 본다는 것은 동시대에 다른 지역에서 어떤 일이 나서 어떻게 영향을 주는지 한눈에 파악하기에는 그만이기 때문이다.

 전권에 이어서 이번에도 부록으로 따라온 '역사공부 길잡이'책을 통해서 내용을 다시 한번 세심하게 들여다 볼 수 있는 기회를 얻어서 책 한 권으로 두 권의 효과를 본 듯하다 .또한 전권에서 느꼈던 목차의 어수선함이 이번 권에서는 한 눈에 들어오게 잘 정리된 점과 표지 제목에서 아쉬웠던 년대 표시도 담겨서 훨씬 정리된 느낌이 든다는 칭찬도 해 주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