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선거이야기 - 1948 제헌선거에서 2007 대선까지
서중석 지음 / 역사비평사 / 2008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없다? 그래도 참여하는 길이 진정한 국민이 되는 길]

선거?라고 하면 나도 참으로 할 말이 없는 인간이다. 대한 민국 사람이면 누구나 선거철이 되면 한마디씩 하는 그 말을 나 역시 입에 달고 살았다.

"거 ~참, 찍을 사람 정말 없네."

입버릇처럼 많은 사람들이 흘리는 이 말에는 얼마나 많은 의미가 숨어있으며 또한 얼마나 많은 무관심과 냉담함이 담겨 있는가? 어려서 보았던 텔레비전 드라마가 참으로 인상깊게 아직까지도 생각난다. 선거를 주제로 한 드라마였는데 당선이 되기 위해서 다른 사람을 비방하는 것은 물론 거짓으로 얼룩져 나중에는 가족까지 팔아먹고 모든 이가 등돌리는 데도 주인공은 오로지 국회의원이 되겠다는 야심으로 생을 마감하는 내용이었다. 어려서 내가 무엇을 알았겠나? 그렇지만 그 사람의 표독스럽고 맹목적인 당선에 대한 야심은 꽤나 강력하게 각인되었나 보다.

선거는 그렇게 내게 긍정적으로 다가오지 않았다. 대부분 정치인들에게 절반은 불신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처럼 나 역시 하고자!하는 사람들 이전에 당선되고자!하는 사람들이 너무도 많이 보였기 때문이다. 그래서 다수의 가식적인 당파 싸움을 하는 사람들 속에 소수의 양심있는 정치인들이 묻혀버린다는 생각도 들었다.

이번 선거에서도 역대 사상 최악의 선거율을 보였듯이 많은 사람들이 점차 선거에 등을 돌리고 있다. 처음에는 더 잘 해야 사람들이 귀를 기울잊..싶었지만 서중석작가의 [대한민국 선거이야기]를 읽으면서 알아야지 더 다가갈 수 있구나 하는 생각을 마음깊이 하게 되었다.

저자는 '선거로 본 한국현대사' 강의를 새롭게 책으로 펴면서 많은 고심을 했으리라. 선거를 통해서 과연 말하고자 하는 것은 무엇인지. 그가 말하기 전에 책을 통해서 대한 민국 선거의 역사를 살피고 그 숨은 이면의 진실과 사건들의 전말을 보면서 무심하면 할 수록 조작된 여론에 휘말리기 쉬움을 알았다. 지금은 신세대로 갈 수록 오히려 진취적이라기 보다는 안정성을 추구하는 60.70대의 가치관과 맞물려 간다고 한다. 이 끔찍한 말을 들으면서 시간이 흐르고 무관심이 바탕이 되어 멀어질 수록 안정이라는 말에 쉽게 길들어짐을 알 수가 있다.

선거와 정치에 대해서는 잘 모르지만 선거를 통해 대한민국의 정치사를 들여다 보면서 한 가지는 분명하게 알 수 있다. 그것은 외면과 무관심은 결코 발전을 가져 올 수 없다는 점이다. 아는 만큼 보인다고 하는 것은 선거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주권을 가진 국민의 한 사람으로써 나의 선거권을 올바르게 행사하기 위해서는 그만큼 관심을 가지고 참여했을 때라야 나도 역사의 올바른 한 자취를 남길 수 있다는 것! 바로 그것이다. 분명 개선할 점은 많지만 선거를 부정적으로 보고 외면하고 참여하지 않는 것은 정말 부끄러운 일이다. 소수를 위한 선택이 아니라 다수를 위한 선택이 될 수 있는 길은 참여와 비판을 통한 한 표를 행사하는 일임을 각인하는 기회가 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