찰리 채플린 - 웃음과 눈물로 인생을 연기한 위대한 영화인 역사를 만든 사람들 13
브리지트 라베.미셸 퓌에크 지음, 고선일 옮김 / 다섯수레 / 2008년 3월
평점 :
절판


 
[제대로 만나는 찰리 체플린의 삶]
 
똑같은 인물을 그리더라도 어떤 점에 중점을 두었는가에 따라서 그 인물을 달리보게 된다. 인물의 일대기 나열이 아니라는 측면에서 다섯수레의 역사를 만든 사람들 시리즈를 좋아하게 되는가 보다.
 
찰리 채플린이라고 하면 영화사에 영원히 남을 사람 정도로 손꼽으려나? 그의 불우했던 어린시절과 함께 영화를 위해서 끊임없이 노력하는 모습을 담은 책들은 많이 보았던 것 같다. 그러나 이번 다섯수레에서처럼 그가 어떤 영화를 만들고자 했으면 미국 영화에서 모순되는 부분에 대한 그의 항변, 영화를 하면서 진정한 영화인으로써 생을 마감하고자 했던 채플린의 일생을 접하게 되는 도서는 흔치 않았던 것 같다.
 
채플린은 불우한 어린 시절을 딪고 그만의 특이한 연기표현법으로 단숨에 영화인들을 사로잡는다. 그런 채플린이 영화에 몰입할 수 있었던 것은 그가 타고난 연기인이라서가 아니라 영화를 사랑하는 사람이었기에 가능했다. 좋아하는 것에 몰입하고 최고의 것을 표현하기 위한 노력이 최고의 영화연기인을 낳은 것이다. 채플린을 거기에서 만족하지 않고 스스로 영화를 제작하기에 까지 이른다. 이것은 단순히 돈을 많이 벌어서 재투자한다는 의미가 아니라 자신이 원하는 영화를 만들기 위한 꿈을 이루고자 하는 측면에서 바라보아야 할 것이다. 그가 만들고자 했던 영화들은 모두 생활 속에서 숨쉬는 사람들의 모습을 담은 사람이다. 일상과는 동떨어진 멋진 남녀를 담고 현실을 외면하고 꿈같은 환상을 담는 것이 아니라 현실에서 힘들게 살아가는 사람들이었다. 그렇기에 미국은 그의 작품을 자본주의에 상반되는 작품으로 왜곡시킬 수 있었는지 모른다.
 
그렇지만 조작되지 않은 평가는 세월의 흐름 속에서 많은 사람들을 통해서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는 것 같다. 지금 그의 작품을 싫어하거나 반자본주의적이라고 비판하는 사람은 과연 몇이나 될까? 그보다 마음을 울리는 작품성에 감동하는 사람들이 더 많지 않을까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