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저승사자에게 잡혀간 호랑이 - 저승이야기 ㅣ 우리 문화 그림책 12
김미혜 글, 최미란 그림 / 사계절 / 2008년 3월
평점 :
호랑이를 소재로 한 옛날이야기를 참으로 많다. 그만큼 호랑이는 우리 민족에게 친근하면서 무서운 존재였기에 때로는 무섭고 때로는 해학적인 모습으로 많이 드러난다. 책을 읽는 아이들에게 옛날 이야기에 가장 많이 나오는 동물이 뭐냐고 물어보면 토끼와 거북이 ,그리고 호랑이를 말한다. 사실 토끼와 거북이는 외국동화를 비롯한 전세계적으로 퍼져있는 전래동화이지만 호랑이의 여러가지 이야기는 우리 나라가 유독 돋보인다는 생각이 든다.
까치와 호랑이와 토끼에서 등장하는 호랑이는 꾀많은 토끼에게 늘 당하는 힘만 세고 무식한 호랑이로 등장하고, 호랑이 형님에서는 잡아먹힐 위험에 처한 나뭇꾼의 기지로 호랑이를 집나간 형님으로 대하는데 그것을 믿고 나뭇꾼의 어머니에게 온갖 효성을 보이는 효자 호랑이로, 그리고 해와 달이 된 오누이의 호랑이는 오누이 엄마를 꾹꺽 삼키고 오누리마저 잡아먹으려다가 천벌을 받는 호랑이로...정말 우리 전래동화 속에 나오는 호랑이는 참으로 다양한 모습인 것 같다.
[저승사자에게 잡혀간 호랑이]는 전래동화 속의 호랑이들을 등장시켜 착하게 살면 사람으로 환생하고 나쁘게 살면 지옥으로 떨어져 벌을 받다가 다시 호랑이로 태어난다는 것이다. 어찌보면 다분히 권선징악적인 모드를 가지고 있지만 이야기 전계를 살펴보면 불교적인 색채도 띄면서 다시 전래 동화 속의 호랑이 모습을 들여다 보게끔도 하고 마지막에 사람으로 환생한 호랑이의 깜짝 비밀이 밝혀지는 부분은 위트를 담고 있기도 하다.
저승사자에게 잡혀간 호랑이가 저승대왕들 앞에서 자신의 전생을 보는 거울앞에 선 장면은 보는 이로 하여금 긴장감을 갖게도 하고, 지옥에서 벌을 받는 다양한 장면은 끔찍하기도 하다. 그렇지만 그림 속에서 저승 대왕들의 다양한 표정이나 자세한 그림을 훑어보는 재미도 있다.
사실 7살 아들에게 이 책을 읽어주면서 무섭다고 다음에는 읽지 않는다고 하지 않을까 생각했는데 오누이를 괴롭힌 호랑이가 벌을 받는 장면은 무서워하면서도 착한 호랑이가 다시 사람으로 태어났다는 결말때문인지 책을 재미있어 한다. 벌을 받는다에서 끝나는게 아니라 착하면 복도 받는다라는 결말이 아이들에게는 분명 영향이 있는 것 같다. 책을 덮으면서 "넌 어떤 호랑이가 될래?"라고 물으면 십중팔구 "효자 호랑이~"라고 말하는게 바로 아이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