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솔개야, 날아라! - 레오나르도 다 빈치와 새잡이 소년의 이야기, 물구나무 그림책 70 ㅣ 파랑새 그림책 70
존 윈치 글.그림, 조민희 옮김 / 파랑새 / 2008년 3월
평점 :
절판
[공통의 관심사로 통한 레오나르도와 소년의 우정]
레오나르도 다 빈치를 소재로 한 영화와 책은 정말 수도 없이 많이 나온 것 같다. 모든 학문에 천부적인 재능을 타고난 다 빈치는 아직까지도 많은 사람들의 주목을 받고 있기 때문일까? 그의 미술작품 외에 과학적 재능과 의학적 상식이 담긴 많은 책을 보면 그에 대한 부분을 어렵지 않게 아이들에게 전해주고 싶은 마음이 든다. 이 책은 하나의 관심사로 통해서 우정을 맺게 되는 레오나르도와 한 새잡이 소년의 이야기를 흥미롭게 들려주고 있다.
새잡이를 직업으로 가지고 있는 아버지는 아들 자코모가 훌륭한 학자가 되기를 바란다. 그러나 아들의 눈에는 아버지만큼 멋진 사람은 없다 .아버지처럼 새잡이가 되고 싶었던 자코모에게 어느날 자신의 실력을 발휘할 기회가 찾아온다. 아버지가 없는 사이 왕궁의 전령이 이탈리아에서 가장 빼어난 붉은꼬리솔개를 구해 오라고 한 것이다. 자코모는 그때부터 붉은꼬리솔개를 잡기위해 그물망과 올가미도 사용하고 미끼새도 놓아보지만 번번히 실패한다. 그러다 지쳐 집으로 돌아가던 길에 붉은꼬리솔개를 발견하고 그 새를 쫓아 들어간 곳에서 새보다 더 멋진 무언가를 만드는 레오나르도를 발견하게 된다. 바로 이것이 새잡이 소년과 레오나르도의 첫 만남이 된 것이다.
소년이 솔개를 잡으러 다니는 가운데 마치 까매오처럼 등장하는 레오나르도가 의아했는데 그것은 바로 소년과 레오나르도의 관심사가 같았음을 은연중에 보여주고 있는 것이었다. 소년은 새를 좋아하고 왕궁에 바칠 새를 구하는 과정이었고 레오나르도는 인간이 나늘을 날기 위해 필요한 것들을 새를 통해서 연구하고 있던 중이었다. 그렇게 공통의 관심사를 가지고 있던 둘이 만났을 때는 설명할 필요없이 마음이 통했을 것이다. 나중에 자코모가 왕궁에 가지간 것은 진짜 솔개가 아니라 레오나르도와 함께 만든 붉은꼬리솔개 연이었다. 물론 레오나르도의 작품임을 알아 챈 왕자는 자코모에게 후한 상을 내리게 되고 말이다. 이런 상보다 더 없이 큰 선물은 바로 레오나르토를 통해서 새장에 새를 잡아 가두는 새잡이가 아니라 멋진 상상력과 연구로 종이 위에 새를 그리는 새잡이가 되었다는 사실이다.
친구가 될 수 있는 가장 큰 조건은 무엇일까? 나이? 자코모와 레오나르도를 보면 절대 그건 아닌 것 같다. 서로 통할 수 있는 관심사 그것이 무엇보다 가장 큰 조건이 될게다. 소년과 우정을 나누는 레오나르도를 만난다면 우리 아이들도 그를 좀더 편하게 만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하게 하는 책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