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조선의 영혼을 훔친 노래들 - 고전시가로 만나는 조선의 풍경
김용찬 지음 / 인물과사상사 / 2008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시조 속에 담긴 조선시대 사람들의 생각 엿보기]
시조를 대했던 것은 학교에서 배운 교과서가 다라고 해도 별로 어색하지 않을만큼 우리 시대에 시조는 뒷방신세를 지고 있다. 사실 시조 뿐이 아니라 마음을 담은 또 하나의 노래라고 할만한 시 역시 판매를 위해서 책을 내지는 않는다고 할만큼 외면당하는 것도 사실이다. 이 책은 과감하게 시도 아닌 조선시대의 시조에 대한 이야기를 시작하고 있다. 단순히 시조를 해석하는 것이 아니라 조선시대의 시조를 통해서 그 속에 담긴 의미와 배경을 이해하면서 시조를 통해보는 새로운 조선을 맛보게 하고자함이 가장 큰 이유라고 한다.
저자는 시조를 당대의 사람들의 마음을 담은 노래라고 칭하면서 조선 시대에 읊어진 여러 시조에 대해서 많은 이야기를 들려주고 있다. 모든 문학작품이 그러하듯 당시의 작품이 지어진 배경을 이해하는 것은 그 작품을 이해하는데 커다란 도움을 준다. 시조나 시 역시 마찬가지이다. 그 시조 속에 어떤 마음을 담고자 했는가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독자들 역시 그 배경에 상당한 호기심을 가지고 있다. 그렇지 않고 익숙하지 않은 어투로 풀이된 시조를 보면서 "옳구나~"라고 할 사람은 많지 않을게다. 사실 난 국문학을 전공하고 대학에서 국문학을 가르치고 있는 필자의 시조이야기를 들으면서, 소개되는 시조를 통한 조선시대 풍경을 엿보았다기 보다는 그 시조가 담고 있는 의미를 해석하는데 온통 신경을 곤두세우고 있었다. 필자가 처음에 머릿글을 통해서 시조가 담고 있는 의미만을 해석하지 않기를 바란다고 했는데도 말이다. 그만큼 시조에는 익숙하지 않고 낯설기에 시조 자체를 이해하는 것은 힘들었다고 고백해야 할 듯하다. 이런 약한 글해석력을 가지고 책장을 뒤적이면서 읽었던 대목을 다시 한번 읽으면서 익숙하지 않은 시조를 한탄하면서도 주제 별로 묶인 시조의 그 배경이야기를 듣는 재미가 솔솔했다.
모든 작품에는 개인의 마음이 담기기는 하지만 현실을 외면하지는 않는다고 한다. 그래서 저자는 조선의 시조를 통해 당대의 모습을 찾아가는 여정을 택하고 주제 별로 엮어진 작품들을 한데 모아서 소개하는 수고로움까지 마다하지 않았다. 이런 묶음으로 소개되는 시조를 감상하는 재미와 더불어 책장 사이사이 소개되는 풍속화를 비롯한 다양한 그림을 감상하는 호사까지 누리면서 21세기 현대에서 조선의 거리 한복판을 거닌 듯한 느낌이다. 그러나..역시 시간을 무시하지는 못하겠다. 조선시대의 시조는 풍류를 담은 노래이기도 했겠지만 21세기 현재의 내가 읽기에는 역시 익숙하지 않은 건 사실이다. 그래도 이런 친절한 해설을 통해서 시조 읽는 맛을 조금이나마 보고 시조 속에 담긴 당대의 현실을 엿볼 수 있는 좋은 기회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