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마의 집
전경린 지음 / 열림원 / 2007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해체되는 가정 속의 또 하나의 믿음]

외국 작가의 작품보다 우리 나라 작가의 작품을 선호하는 것은 아마도 내가 찾는 정서의 뿌리가 상통하기 때문일 것이다. 그 작가들 중에서도 유독 여류 작가의 작품을 놓치고 싶지 않은 것 역시 내가 여자이기에 공감할 수 있는 감정의 교류를 놓치고 싶지 않기 때문이기도 한다.

신경숙을 비롯해서 글쓰기는 이렇게 해야지..라고 대학 초년생이던 나를 사로 잡았던 양귀자, 인간에 대한 예의로 핏발을 세우다가 이제는 너무도 순하게 일상과 인생에 순응하는 듯한 공지영, 그리고 세련된 언어와 글쓰기에 대한 자신감과 고집이 있는 은희경, 그리고 일상에서의 일탈을 꿈꾸는 듯한 전경린까지..그 많은 여류 작가의 작품 중에서도 난 유독 전경린의 작품을 손꼽아 기다리고 있었다.

남편의 외도로 자신의 정체성을 잃고 방황하던 한 여인이 자신의 특별한 하루를 찾아 홀로서는 과정에 통했기 때문이었을까? [엄마의 집]이라는 이번 작품에서는 과연 그녀가 어떤 가정의 어떤 여인의 모습을 담았을까 정말 궁금했다. 분명 평범함에서 벗어난 이야기임에는 불을 보듯뻔 했다.  그녀의 이번 작품에도 해체되는 가정의 모습이 담겨있다. 한동안 청소년 소설과 어린이 동화에서 해체되는 가정의 여러가지 모습을 보면서 이것은 현대 사회에서 피할 수 없는 화두라고 느꼈다. 우리가 아무리 화목한 가정, 평범한 가정을 의도적으로 말하더라도 현실을 피해갈 수는 없다. 해체되는 가정에서의 엄마와 아빠, 그리고 자녀들은 분명 자신의 위치를 잃고 방황하고 있었다. 그리고 또 한가지...해체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이제는 새롭게 형성되는 가정에까지 그 사고의 폭은 넓혀져야 한다. 해체와 분열의 끝에는 새로운 시작이 있고 가정에서의 새로운 결합과 시작이라는 것은 혈연이 아닌 믿음으로 구성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어느 날 가출을 택한 호은의 엄마가 가출을 택한 이유를 구지 따지고 싶지 않다. 너무도 개인적인 일이지만 그만한 결정에는 가슴을 후벼파는 아픔이 뒤따랐으리라..난 오히려 그녀가 자립하고 딸 호은을 하나의 객체로 인정하면서 "나를 봐달라"는 식의 엄마의 하소연을 보이지 않는 것에 마음이 갔다. 그런 엄마를 받아들이는 과정을 호은의 담담한 행동에서도 찾을 수 있었다. 사람들이 모여서 가정을 이룬다는 것,'우린 한 집에서 살아요.'라고 하는 것에는 참으로 많은 사실이 내포되어 있음을 느끼게 한다. 해체는 쉬워도 재구성 되는 가정에서는 분명 또 하나의 숨어있는 믿음이 있다. 그 믿음과 이해 없이는 새로운 가정을 만들기 어렵다는 사실을 깨닫게 된다. 이해와 믿음 그것을 새로운 집을 꾸미는 보이지 않는 끈이라고 생각된다.

엄마의 집이라는 단어에서 난 한 여인으로의 엄마를 다시 한 번 찾아보게 되었다. 나의 집? 혹은 엄마의 집? 그리고 누군가의 집에서 그 사람의 내면에 숨은 자아를 가장 잘 찾을 수 있게 되려나...결코 가볍고 밝은 분위기가 아니기에 쉽게 읽을 수 없는 작품이지만 그렇기에 삶의 무게감을 늘 가지고 있는 전경린, 그녀의 작품을 난 학수고대 하게 되는 것 같다. 그러면서 나의  삶이라는 집에서 나의 존재감을 더욱 느끼게 만드는 매력을 다시 한 번 경험하게 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