별똥별 아줌마가 들려주는 우주이야기 별똥별 아줌마가 들려주는 2
이지유 지음, 이시우 감수 / 미래아이(미래M&B,미래엠앤비) / 2001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지루함과 식상함을 거부한 과학책]

요즘 별똥별 아줌마가 들려주는 과학이야기에 푹~빠져서  지내고 있다. 과학책도 이렇게 재미나게 쓸 수 있구나..감탄하면서 말이다. 최근에 나온 책부터 거꾸로 읽으며 드디어 그녀의 가장 첫번째 과학책인 '우주이야기'를 만났다. 과학책 가운데 가장 많이 나온 주제 중의 하나가 우주에 대한 것인데 과연 이번에는 어떤 방식으로 우주에 대해서 색다르게 접할까 잔뜩 기대를 하면서 책을 읽었다.

역시 서문에서 다시 한번 그녀는 과학에 접근하는 자신의 태도를 피력한다. 아이들에게 과학책을 쓰면서 사람냄새 나는 속이 꽉 찬 과학이야기를 쓰자는 것이다. 과학책이라고 하면 정보전달을 하기 위해 읽기도 힘들게 너무 딱딱하게 쓰여지거나 혹은 재미있고 쉽게 접근한다고 하면서 말장난처럼 쓰여지는 경우에 안타까움을 드러낸다. 그래서 그녀의 책은 쉽고 재미있으면서도 사람사는 이야기가 들어있는 공감하는 우주 이야기책을 쓴 것 같다.

우리가 살고 있는 태양계의 행성에 대한 정보를 비롯해서 하늘의 천체를 관측하는 과정과 방법, 인공위성 현지 탐사자료까지 다양하게 담고 있다. 간단히 구성을 살펴보면, 1장에서는 하룻밤에 듣는 우주이야기라고 해서 우리가 살고 있는 태양계 행성들에 대해서 소개한다. 책을 읽고 다시 소제목을 보면 그 내용이 기억나도록 특징을 잡은 것이 마음에 든다. 2장에서는 소행성이나 혜성, 별똥별, 달 등 다양한 궁금증을 풀어주고 3장에서는 별의 진화나, 블랙혹, 별의 구별하는 방법, 은하와 외계인 이야기까지 우주 이야기의 폭을 조금 더 넓혔다. 그리고 4장에서는 흥미로운 우주이야기를 담고 있다. 여자 천문학자, 예술가들이 표현하는 우주, '천상열차분야지도'와 같은 우리 별자리 이야기 등, 그리고 마지막 5장에서는 우주와 연관된 다양한 자료를 소개한다.

그녀의 남편이 천문학자이기 때문에 실제로 아이들과 함께 보현산 천문대에 가서 별을 관측하는 이야기를 담은 부분은 실제로 가지 못한 독자들까지 별탐사에 친근함을 느끼게 한다. 예전에는 불빛이 밝지 않아서 맨눈으로도 수많은 별을 관측했다지만 지금은 도시의 불빛을 피해 산 속의 높은 곳에서 별을 관측해야 한다고 한다. 문명 발달하고 앎에 대한 욕구가 높아질 수록 자연은 우리에게서 멀어지는 아이러니함을 느끼는 부분이기도 했다.

그리고 달과 우리 사람과의 관계에 대한 설명도 참으로 흥미로운 부분이었다. 태양을 기준으로 모든 활동이 이루어지지만 우리 생활에서 달을 중심으로 한 음력을 지속적으로 사용하는 이유를 알았다고나 할까? 지구와 달은 서로 멀어지고 가까워지면서 영향력을 주고 있다. 그러면서 적잖이 지구의 변화와 현상에 영향을 준다고 한다. 그렇지만 사람의 몸이 신기하게도 달이 차고 기우는 그것에 맞춰서 변화하는 것은 참으로 놀라운 일인 듯하다.

참으로 한 권에 우주에 대해서 많은 이야기를 소개받은 것 같다. 단순한 태양계 정보나 우주 생성과정에 대해서 들었던 것에 비하면 정말 내가 속한 우주라는 큰 집을 훑어본 느낌이랄까? 먼 우주가 아니라 내가  살고 있고 나는 우주의 한 부분임을 실감나게 한 책이었다. 책의 두께나 글자수에 눌린 무게감은 책을 읽는 순간에 싸~악 사라질 것이다. 초등 고학년 아이들이라면 충분히 흥미롭게 읽을 수 있을 것 같다. 중고생? 필독으로 했으면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