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팔레스타인 - 팔레스타인의 독립은 정당한가 ㅣ 고정관념 Q 13
오드 시뇰 지음, 정재곤 옮김 / 웅진지식하우스 / 2008년 1월
평점 :
절판
솔직히 말하건데 끝임없는 종교분쟁지의 하나인 팔레스타인지역과 그 가운데 함께 있는 유대인과 팔레스타인들에 대한 혹은 유대교와 이슬람교에 대해 무지했음을 고백하지 않을 수 없다. 그런 무지함 가운데서도 주워들은 것이 있다면 어쩌면 그것 자체가 사회적인 편견과 고정관념을 그대로 축적한 것인지도 모르겠다. 피상적이고 일반적인 것이 사회를 관통할 때 그것이 진실이기보다는 조작된 여론이 되는 경우가 허다했기 때문이다.
[이슬람][유대교][팔레스타인] 이렇게 세 권의 책을 보면서 한 권이 아닌 세권을 동시에 읽는 묘미를 충분히 느낄 수 있으리라 예상했다. 우선 종교분쟁이라고 일반적으로 말하는 팔레스타인 지역에서의 두 종교에 대해서 가지고 있던 생각을 다시 점검해 볼 기회가 되고 그 다음에는 과연 이런 종교가 발단이 되어서 진정 팔레스타인지역전쟁이 지속되는가를 살펴볼 수 있기 때문이다.
웅진의 고정관념Q시리즈는 처음 접하기에 책을 만들어낸 곳을 살펴보았다. 이슬람과 유대교를 말할 때 주제가 누군가에 따라서 달리 기술될 수 있을거라 판단되었기 때문이다. 고정관념Q시리즈는 프랑스의 '르 카발리에 블뢰'출판사에서 현재까지 130여권 가량을 계속 출간하고 있는 시리즈이고 고정관념의 집대성이 아니라 그거들이 발생하게 된 이유와 진실성을 담아내고자 마련된 것이라고 한다. 우선 그 의도에 신뢰성을 보내면서 나의 고정관념이 얼마만큼 비대칭적으로 진실성과 외면되게 자리잡고 있는지 궁금증을 가지면서 책을 접했다.
우선 세 권의 책 가운데 가장 관심이 가는 것은 아무래도 지속적인 분쟁의 소지로 남아있는 [팔레스타인]에 대한 책이었다. 이 분쟁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이슬람교와 유대교에 대한 종교적인 이해를 먼저 해야할 것 같았다.
우선 [이슬람]과 [유대교]의 책에서는 일반적으로 이 두 종교에 대해 가지고 있는 일반적인 상식의 오류를 되잡아 가는 시간을 갖게 된다. 누가 보아도 이슬람에 비해 유대교는 더 많은 지지를 받고 힘적으로도 우세하다는데 동감한다. 그런 유대교는 과연 핍박받던 민족이었는가부터 살피고 반면 이슬람교는 늘 호전적인 이미지를 갖고 있는 종교단체로 그려지는 고정관념부터 다시 짚어볼 시간을 가졌다. 실상 이런 부분에서는 다양한 책을 접하면서 늘 궁금증을 가지던 부분이다 한손에는 칼, 한 손에는 코란이라하여 믿음이 아니면 죽음을 준다는식의 논리는 분명 이슬람교를 믿는 측이 아닌 곳에서부터 뻗어나갔을거라고 추측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십자군 전쟁이 일어나기 전에 성지로써 공유되는 지금의 분쟁지역은 처음에는 이슬람교에 의해서 유대교도 인정하는 가운데 신성시되던 지역이었다는 것은 아이들의 책을 보아도 나오는 이야기이다. 첫 대립, 그것은 분명 십자군전쟁에 의한 것인데 이것을 타당하다고 보는 사람들은 분명 없을 것이다.
[팔레스타인]에서는 이슬람과 유대교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이들의 종교 분쟁이 어떻게 시작되고 해결점은 과연 찾을 수 있는가를 생각했다면 먼저 이들의 분쟁에서 시작되었다는 고정관념부터 깨고 들어가야 했다. 피상적인 것은 성지를 찾기위한? 치열한 종교분쟁이지만 내막은 영토를 둘러싼 분쟁이었다고 한다. 수많은 협정이 이루어지고 이스라엘을 하나의 독립된 국가로 인정하고 그에 팔레스타인을 하나의 독립된 국가로 인정하면서 분쟁은 이어지고 있었다. 사실 팔레스타인에 대한 책을 보면서는 무장단체의 이미지가 강하고 전투적인 지하조직에 대해서 많이 나오지 않을까 기대했다. 사실 대부분의 사람에게 이슬람과 지하조직에 대한 공격성을 인정하는 면이 없지 않기 때문이다.솔직히 그것에 대해 기술하면서 작가는 희망없는 정치, 미래없는 정치에 대해서 좌절하는 국민들이 어쩌면 자살폭탄테러를 쉽게 택할 수 있는지도 모른다는 말에 씁쓸함이 느껴졌다. 미래가 보이지 않기 때문이 아니라 이들에게는 진실을 찾기위한 투쟁이 절박하고 절실했기 때문이 아닌가 여겨졌기 때문이다.
이러한 과격한 투쟁이 아닌 끈기와 인내로 저항하는 '수무드'투쟁을 택하는 사람들이 많다는 도 어쩌면 추측할 수 있는 부분이기도 했다.
언제나 역사적인 분쟁은 민중이 아닌 기득권에서 시작된다. 책을 보면서도 난 그 생각을 떨쳐버릴 수가 없었다. 팔레스타인 지역 뿐 아니라 종교적인 분쟁이라는 미명하에 지배계층간의 갈등으로 야기된 전쟁이 얼마나 많은가 ?팔레스타인 분쟁도 따지고 들어가면 그와 마찬가지라는 생각이 든다. 그리고 이런 분쟁에서 편을 드는 주변국은 힘의 논리에 의해 자국에 이익이 되는가 아닌가를 따지는 것또한 현실인 듯하다. 진정으로 분쟁의 소용돌이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자신의 삶의 터전으로 돌아가고자 하는 사람들의 목소리를 저항과 투쟁이라는 목소리에 파묻히는 것 같다. 진정 평화를 원하는 대다수의 평범한 사람들은 종교에 목숨을 거는게 아니라 평안하게 살 가족의 삶의 휴식처를 위해 목숨을 거는걸게다. 그래서 이런 지식정보 책을 보면서 내가 오인하던 혹은 몰랐던 부분에 대해서 인식을 하면서도 가슴 한 구석이 늘 저리는 느낌이다. 지금 당장 해결되지 못하고 계속 분쟁속에서 불안한 삶을 살아가는 사람들, 어린이들이 눈에 아른거리기 때문이다. 뭔가 실천하지는 못한다 하더라도 제대로 된 정보를 얻고 잘못된 고정관념을 다시 짚어보고 주변에 시선을 돌리는 것은 꼭 필요하다고 생각하기에 이번 책을 통해서 얻은 바도 많아지는 것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