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대왕이 되는 놀라운 숫자 이야기 미래 지식 창고 1
데니스 슈만트 베세라트 지음, 임유원 옮김, 마이클 헤이즈 그림 / 미래아이(미래M&B,미래엠앤비) / 2007년 10월
평점 :
품절


[0, 네가 이렇게 태어났구나~]

지금은 너무도 익숙하게 사용하고 있는 아라비아숫자들. 처음에도 이런 수가 존재했을까?라고 아이들에게 물으면 모두 갸우뚱..숫자들 가운데서 가장 중요한 숫자는 무엇일까?물어보면 모두가 99내지는 999 모두 9에 집중해서 말하지만 정작 아무것도 없다는 의미의 0의 가치를 간과할 때가 있다. 이 책은 숫자의 필요성에 의해서 인류의 발달과 더불어 변화 발전하는 숫자의 역사와 더불어 수를 기록함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0의 생성과정도 함께 엿볼 수 있다.

숫자의 필요성은 인간의 경제활동과 연관된다. 단순 수렵과 채집을 통해 자신의 생계를 유지하는 목적만을 가지고 있던 때는 수확량 자체가 소비량이었다. 그러나 수확량이 증가하고 자신이 소비한 외에 남는 것, 혹은 다른 것과의 교환의 필요성을 느끼면서 점차 수의 필요성을 느끼고 범위도 점차 확대되어 가는 것이다.

파푸아뉴기니의 파이엘라 족은 몸의 각 부위로 수를 나타내기도 한다. 가장 큰 수가 28이라니 수의 개념이 크지 않은 사회에서는 가능했겠지만 이 단위로는 분명 부족하다. 수의 발달 과정에서 늘 등장하는 수메르인들. 실은 이들은 수와 문자를 논함에 있어서 꼭 거쳐가야 하는 사람들이다. 기호를 이용해서 수를 만들어 사용했으며 60이라는 숫자의 효용성을 간파하여 시간이나 분을 나타내는 개념도 60으로 사용했다. 물론 다른 책을 통해 이들이 달력을 창출해내는 과정도 엿볼 수 있었다 .그러나 이들도 자릿수를 나타내는 것까지는 담아내지 못한다. 바로 0이 부재했었다.

수메르인의 숫자개념은 오랜동안 사람들에게 사용되었다. 그러다가 페니키아인들에 의해서 만들어진 알파벳 문자는 숫자의 사용으로 이어진다. 이들은 알파벳을 이용해서 수를 나타내고 기본수는 오로지 10을 사용한다. 그렇지만 이 때도 자릿수를 나타내는 0의 개념은 부재했다.

우리가 쓰는 아라비아 숫자는 본래 인도에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0,1,2,3,4,5,6,7,8,9

이 10개의 숫자의 등장은 전세계 사람들의 수를 사용하는데 일종의 혁신과도 같지 않았을까 싶다. 그리스문자 27개를 이용해서는 고작 900까지를 기록할 수 있고 로마숫자 7개를 이용해서는 앞뒤를 더하고 빼면서 1000까지만 기록할 수 있었다. 그러나 아라비아 숫자가 등장하고 수를 나타내는 단위는 커지고 반복되는 숫자로 익히고 기억하기 편리했으면 무엇보다도 0의 등장으로 자릿수의 개념을 확실하게 나타낼 수 있었던 것이다.

4학년이 된 딸아아의 수학 교과서 첫 단원이 바로 이 수의 자릿수 개념을 넓히는 단원이다. 고작해야 백자리 천자리까지의 계산을 했었는데 이제는 억, 조 단위까지 가면서 중간에 부재한 0이 가치와 개념을 익혀나가고 있다. 일상에서 너무도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0이 바로 이렇게 생겨났으면 우리가 사용하는 아라비아숫자가 자리잡기까지 많은 민족이 수를 사용하기 위해서 노력한 자료들을 엿볼 수 있는 책이었다.

처음에서도 이야기했듯이 수의 발전은 인간의 경제생활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 인류가 발전하면서 늘어나는 수의 단위를 보면서 충분히 그 개념을 아이들도 이해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미래아이에서 야심차게 내놓은 미래지식창고 시리즈의 첫권..정말 만남이 새롭고 알찼다고 여겨진다. 앞으로 출간되는 시리즈에도 관심을 갖고 살펴보고자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