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치가 거미줄에서 탈출했다 사계절 저학년문고 39
김용택 엮음 / 사계절 / 2008년 2월
평점 :
절판


[자연 속의 아이들이 부럽습니다]

발전이라는 미명아래 도시로 도시로 몰려든 사람들..그렇게 나도 도시인이 되어서 살고 있고 내 아이도 도심 한 복판에서 학교와 학원을 오가면서 살고 있다. 그렇게 쉼없이 바삐 하루하루를 살면서 과연 무엇을 위해~라고 고개를 들고 보면 푸른 하늘의 흰구름이 너무도 갖고 싶어지는 때가 있다. 그것이 바로 자연을 그리워 하는 사람들의 속내가 아닐까?

자연과 가장 어울리는 것은 아이들이라고 한다. 그런 아이들은 자연과 놀기위해서 세상에 왔다고 한다. 어디선가 들은 말인데..아마 이 시대의 아이들을 위해서 태어난 말이 아닌가 싶다. 예전같았으면 들로 산으로 뛰어노는 아이들에게 놀아라~ 자연 속에서~라는 말을 구지 하지 않아도 되었지만 지금의 도시 아이들은 자연의 내음도 놀이 문화도 너무도 소중하고 아쉬워지는 때인 것만은 틀림없는 것같다.

섬진강 마을의 선생님으로 잘 알려진 김용택님은 그의 글은 물론 그가 가르친 학생들의 글을 읽으면 가슴 한 켠이 뭉클해지면서 훈훈해진다. 선생님과 아이들이 어쩜 그렇게 자연과 꼭 닮았는지 모르겠다. 가식도 없고 잘난체 드러내려는 면도 없이 그냥 그대로 자기를 담아내는 모습을 너무도 닮고싶어진다.

매년 3~4명의 아이들을 가르치다가 작년에는 3~4배 되는 14명의 2학년 아이들을 가르치느라 정신없이 보냈다는 김용택 선생님의 말을 들으면서 혹시 이 가운데서도 나처럼 "가고싶다.."를 실천으로 옮긴 사람이 적지 않은게 아닐까 생각도 해 보았다. 다른 책에서보다 더 장문으로 아이들에게 어른으로써 미안한 마음을 담은 선생님의 서문을 읽으면서 나 역시 내 아이들에게 어른으로써 주지 못하는 것들에 대한 미안함으로 가슴이 뭉클해졌다.

우리 아이의 일기 속에 드러난 마음은 어떤 것인지..과연 내가 찾고 있는 것은 무엇인지 ...이 시집을 읽으면서 느껴지는 아이들의 생동감을 나도 내 아이의 글에서 찾을 수 있을까 ?사실은 그렇지 못하기에 아이에게 더더욱 미안해진다. 그만큼 삶속에서 행복감이 적어서 그런건 아닐까 하면서 말이다....자연과 함께 사는 아이들 ,그 가운데 자연만큼 순진하고 싱그러운 선생님을 만난 아이들의 글 속에서는 생동감과 꿈틀대는 자연의 숨결이 그대로 담겨 있다. 그렇기에 이 글을 보면서 아이와 함께 이 글을 읽으면서 잊고 있었던 생활속의 작고 소중한 것들에서 찾을 수 있는 행복을 다시 한 번 느껴본다. 그리고는 이제는 준비 땅~ 나와 아이가 함께 그것들을 찾아서 담아보자고 준비하고 나서게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