꽃이 피고 나비가 날고 웃음이 나와, 신사임당
정은희 지음, 홍성화 그림 / 푸른길 / 2008년 1월
평점 :
절판


[오죽헌을 떠올리며 만난 사임당]

4학년이 된 딸아이가 가장 존경하는 인물 중의 한 명이 바로 신사임당이다. 현모양처의 대명사이자 율곡 이이의 어머니로써의 사임당을 알아가는 것은 아마도 시대에 역류하는 것일지도 모른다. 지금은 사임당의 자신의 삶을 살고자 노력한 자주성이 강한 여성으로 인식하는 것이 더 현명한 판단인지도 모른다. 우리가 어렸을 때 받았던 교육과는 참으로 많이 변해가지만 그 변화되는 모습이 옮구나 싶은 점이 참 많다.

딸아이가 사임당을 좋아하는 이유는 율곡의 어머니이기 때문도 아니고 남편을 잘 보필해서도 아니다.그건 오로지 사임당의 그림에 반해서 그렇다. 이것저것 재는 어른들보다 아이들은 더 솔직하고 직관적인지도 모르겠다. 우연히 책을 통해서 보게 된 사임당의 '포도도'를 보고 홀딱 반해버린 아이를 위해서 두 해 전에 강릉의 오죽헌을 다녀온 일이 있다 .사실 오죽헌은 나도 처음 가보는 곳이어서 아이만큼 들떠 있었다. 사임당과 그녀의 아들 율곡이 태어나서 자란 곳이기도 한 오죽헌의 검은 대나무도 인상적이었지만 발닿는 곳곳에 오랜 세월 그들이 살았던 흔적을 느낀다는 것이 가슴 떨리는 경험이었던 것같다. 그곳에서 보았던 사임당의 그림들은 아직도 인상적으로 남아있다.

형식과 예를 중요시했던 조선시대에 시댁이 아닌 친가에서 친정부모를 모시고 살았던 사임당. 과연 그게 가능했을까? 그녀는 왜 친정에서 그렇게 많은 시간을 보냈던가?에 대한 의문은 사임당을 알면 알수록 짙어지는 의문이었다. 단순히 친정부모님을 위해서라고만 하기에는 뭔가 더 많은 것이 있을 듯 싶은데 이번 책을 보면서 그 의문의 절반은 풀린 듯하다. 사임당의 어머니도 친가에서부모님을 모시고 살았듯이 사임당 역시 자신의 부모님을 모시고 살았는데 이것은 당시의 교육과는 차별화된 가장 교육의 영향이 컸던 탓인듯하다. 사임당의 외할아버지나 아버지는 남녀를 떠나 자신의 교육에 헌신적이고 자녀들의 재능을 인정하고 높이 평가해주는 인물이었다. 그랬기에 사임당은 자신을 알아주는 부모 밑에서 자신이 하고자 하는 일을 하면서 살 수 있었던 것같다 .

책을 읽은 딸도 인선이 스스로 중국의 태임이라는 여성을 본받고자 자신의 호를 사임당이라 칭하고 스스로를 가꾸어가는 모습에 더욱더 감탄한 듯하다. 전체적으로 저학년들도 쉽게 볼 수 있는 이야기구조로 쓰여졌고 무엇보다도 그림의 선이 곱고 이뻐서 여자 아이들에게는 더욱 인기있지 않을까 싶다. 또한 책의 중간중간 주어지는 정보의 내공도 높은 점수를 주고 싶다. 사임당이 자란 오죽헌의 사진과 소개자료, 조선 시대 여성의 교육, 사임당이 닮고자 한 태임, 조선시대 혼인 풍속, 세계 화폐 속에 담긴 여성 등에 대한 정보가 튼실하게 담겨있다.

누구의 어머니 이전에 자신의 삶을 자주적으로 살아간 당당한 여성으로써 사임당을 만날 수 있기에 의미있었다. 이 책을 읽고 나면 책의 마지막 부분에 빨간 종이 위에 그려진 사임당의 그림을 보고 반하지 않을 사람이 없을 것 같다.  다녀온 때문인지 책을 읽는 내내  오죽헌을 떠올리면서 읽었다. 시간이 되면 올 해 한번 더 오죽헌에 가고 싶다는 생각이 든다. 그 때는 책을 본 아이와 더 많은 이야기를 나눌 수 있을 듯하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