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승 벌타령 우리문화그림책 온고지신 2
김기정 지음, 이형진 그림 / 책읽는곰 / 2008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얼씨구~ 팔도 장승 다 만나보세~]

 

아이들에게 책을 읽어주면서 덩달아 나도 신날 때가 있는데 바로 이런 책을 만날 때다. 어려서 그다지 책을 많이 접하지 못했던 때문인지 아이들 키우면서 아이책이 곧 내 책이 되어 함께 읽으면서 즐기게 된다. 많고 많은 그림책 중에서도 우리 문화와 정서를 다룬 책은 특히나 더 반갑다. 같은 출판사에서 나온 [연희네 설맞이]라는 책을 통해서 우리 것을 담아내는 작업을 튼실하게 하는 출판사라는 이미지를 갖고 있었는데 이번책으로 확실히 맘에 드는 곳으로 자리매김을 하였다.

 우리 옛이야기 중에 많고 많은 것 중의 하나가 게으름뱅이에 대한 이야기이다. 그만큼 성실함을 생활의 밑천으로 강조함도 있었겠지만 사람들이 갖는 가장 흔한 단점 중의 하나인 탓도 있었으리라. 장승벌타령에서도 세상 게으름뱅이들 가운데 내놓아도 전혀 꿀리지 않는 인물이 하나 나오니 그가 바로 가로진이다. 산에 가서 나무 한 짐 해오라는 어미말에 내내 뒹굴다가 장승을 턱하니 뽑아 온 가로진이. 땔감이 될 처지에 구슬피 우는 장승의 소리는 온 천하의 장승에게 들리고 그로 인해 팔도의 장승이 모두 모여 가로진이를 벌하기 위해 모인다.

팔도의 장승이 등장하는 것이 바로 이 책의 가장 큰 재미가 아닌가 싶다. 지방색을 나타내는 구수한 사투리를 섞어가면서 등장하는 장승은 우리가 몰랐던 많은 장승을 알 수 있게 해준다. 이 장승들이 가로진이에게 내릴 벌을 나누어 온갖 병을 발라대면서 하는 벌타령을 책을 읽으면서 절로 흥이 나는 대목이다 .물론 가로진이에게는 안됐지만 말이다.

장승에 대해서 잘 모르던 아이는 나중에 가로진이와 그 어미가 장승각시를 만들어 놓은 모양새가 제일 신기한가 보다. 원래는 남자 장승만 있었는데 가로진이 때문에 여자 장승이 생겼다고 결론을 내리기까지 한다.

천하대장군과 지하여장군으로 익숙한 장승은 팔도의 특색에 따라 돌하르방, 벅수, 수막살이 등 그 명칭도 다양하다. 장승들에게 벌을 받은 가로진이가 시름거리는 동안 아들을 구하기 위해서 팔도를 돌아다니는 어미의 모습이나 천천히 병이 나아가면서 게으름병까지 나가가서 새사람이 되는 가로진이의 모습을 담은 마지막 장면은 우리 옛이야기의 그 정서를 고스란히 담고 있다.

책을 읽고나서 '장승이 보내 편지'를 통해서 장스의 역할과 다양한 종류 등에 대해서 알아보는 것도 이 책의 또 하나의 재미이다. 다음에는 한글, 단오, 금강산에 대한 우리 문화 그림책이 나온다니 무척 기대가 된다. 이런 느낌으로만 만날 수 있다면 [온고지신]이라는 시리즈명을 오랜동안 기억하게 될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