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거침없는 고딩들의 일본 탐험기
김영민 외 지음 / 푸른길 / 2008년 1월
평점 :
절판
[하면 된다? 된다~]
대한민국에서 아이를 키운다는 것은...이라고 시작하면 희망적인 이야기보다 늘 우울한 교육 현실에 대한 이야기가 고개를 들이밀고 나타난다. 그래서인지 명문대와 특목고, 외고등이 문구에 걸리는 책은 와락 접하기가 쉽지는 않다. 나와는 먼~이야기가 아닌가 하는 편견아닌 편견을 가지면서 말이다.
실은 이 책도 민사고 아이들의 일본탐방기라는 말이 제일 먼저 눈에 들어왔다. 고딩이 일본탐방을? 어떤 아이들이야??했는데 민사고란다. 조금은 식상한 일본탐험기가 아닐까 하는 생각으로 책을 읽었지만 완전히 내 예상은 빗나갔다.
민사고의 잘난 아이들을 드러내기위한 책은 분명 아니었고 이들의 종횡무진 일본 탐방을 준비하고 체험하고 마지막 스스로 책을 내기까지의 과정을 보면서 정말 신나게 이들의 여정에 동참했다.
국가청소년위원회에서는 해마다 여는 국외탐방에 무작정 신청한 네 명의 아이들이 있었다. 이들은 수재들이 모였다고 하는 민사고의 학생들..이들이 일본탐방을 떠나기 위해서 주제를 정하고 자료를 모으고 그 가운데 약간의 불란을 겪으면서 일본탐방을 떠나기까지의 과정을 읽으면서 피식피식 웃으면서 재미있게 읽었다. 선생님의 지도 없이 아이들이 탐방 주제를 정하는데 이 아이들은 일본의 일관교육으로 낙점했다. 대학입시를 위해서 공부하는 우리와는 달리 명문 유치원에 입학하면 명문대학까지 이어진다는 일관제도. 물론 책에서 일관제도에 대해서 쓰여진 부분도 있지만 이들이 이러한 과제를 수행하기 위해서 찾은 일본에서는 많은 경험들이 더 값진 것이었으리라.
네 명의 아이들이 똑같은 경험을 나름대로의 기록으로 남긴 글을 읽으면서 만나지도 않은 네 아이의 개성을 톡톡히 느낄 수 있었다. 단지 공부만 하는 아이들이 아니라 자신을 표현하는 나름대로의 방법과 멋을 아는 녀석들이었다. 일반적인 기행기록문 형식이었다면 이들의 일본탐방기는 여느 책과 별로 차별성이 없었을텐데 이 네 아이들의 제각각의 목소리로 그 기록을 듣는 것이 정말 최고의 즐거움이었다.
그 가운데 다른 사람에게 보이기보다 팀원으로써 자신의 분량을 채워가는 모습이 인상적이었다. 무엇보다도 일본 탐방후 오히려 다시 뭉친 아이들은 미진한 부분과 새로운 조사를 통해서 자신들의 경험을 논문으로 작성하고 책을 만들어내는 과정이 인상깊었다.
민사고 아이들이어서 할 수 있었던 것이 아니라 거침없는 고딩들이었기에 가능하지 않았을까? 하면 된다?라고 의문문을 찍고 멈추는 것이 아니라 거침없이 가면? 된다!!가 가능해 지는 것이다.
처음에는 편견으로 읽기 시작했지만 읽어나가는 순간 이 네 녀석들의 제각각의 매력과 언변술에 빠져서 책읽는 재미에 빠져들 것이다. 주말에 만나기로 한 중학생 조카를 위해서 벌써부터 이 책을 챙겨두었다. 분명 조카녀석도 읽으면서 무척 좋아라할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