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리의 미궁을 탈출하라 청소년을 위한 철학 판타지 소설 3
좌백 지음, 왕지성 그림, 한국철학사상연구회 감수 / 마리북스 / 2007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논리와 미궁의 조화로 철학에 돌입]

조금만 학년이 높아지면 논술 준비를 하면서 책읽기 폭을 넓히는게 우리 교육의 현실이다. 논술이 없어진다는 말도 있던게 그러면 논술이나 이에 필요한 책들이 없어질까? 생각의 확장을 위해서는 구지 시험이 아니더라도 논리적으로 접근하는 방식을 배우는 다양한 책들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논리적으로 생각하기, 논리적으로 말하기..모든 것의 기본은 논리성에 근거를 두고 있다. 논리적인 사고를 필요로 하는데 바로 철학이 근본이 된다고 한다. 철학의 근본은 바로  생각하기라고 하니 철학적 판타지를 통해서 어려운 철학을 쉽게 배울 수 있다면 하는 기대로 책을 접하게 된다.

남녀노소라면 누구나 좋아하는 문학의 한 장르가 판타지이기에 어려운 주제의 글을 판타지 소설의 힘을 많이 빌리게 되는 것 같다. 이 책은 철학 판타지 소설형식으로 지누(진우)라는 인물을 등장시켜 게임을 풀어가듯 하나씩 철학적 사고와 의미를 쌓아가는 형식을 취하고 있다.

컴퓨터 게임에 빠져서 사는 주인공 지누(진우)의 모습은 요즘 우리 주변에서 어렵지 않게 찾는 아이들의 모습이다. 이 아이들에게 어려운 철학은 역시 가장 관심사 높은 게임으로 풀어간다는 사실이 재미도 있으면서 어딘지 모르게 만화형식을 옮아간다는 느낌도 든다. 책을 읽는 도중에 알았는데 얼마전 이 책을 초등용 만화책3권으로 엮어서 냈다고 한다.

주인공 지누가 애지와 책의 도움으로 그리스신화에 나올 법한 미궁을 헤쳐나가는 것은 어느 정도 재미가 있다. 중간중간 논리퀴즈와 지식정보란을 통해서 정리하고 쉬어가는 것도 책을 읽는 청소년들에게는 도움이 되겠다. 그렇지만 역시 판타지 소설로 풀었다 해도 철학이 그렇게 쉬운 건 아닌것 같다. 한 번 이상을 보면서 차근차근 나오는 용어와 의미를 더듬어 가야 할 것 같다.

판타지형식으로 이야기 구조를 통해서 배운 것은 책의 부록으로 제시된 용어정리 편을 통해서 다시 한 번 정리하는게 좋겠다. 이 용어 정리도 유용하겠지만 42가지 오류판정관을 읽는 것 역시 재미있다. 알쏭달쏭하면서 오류가 되는 것을 찾아가면서 나도 모르게 논리적 사고에 길들여지는 느낌도 든다.  

여하튼 논리를 터득하기 위해서 미궁을 선택해서 게임을 통해서 풀어가는 과정은 철학에 접근하는 묘한 매력을 느끼게 하는 것 같다. 논리와 미궁의 조화로 철학에 돌입하는 느낌이라고나 할까? 어른들은 모르겠지만 청소년들에게는 철학에 접근하는 첫단계로 알맞을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