색깔 속에 숨은 세상 이야기 아이세움 열린꿈터 2
박영란.최유성 지음, 송효정 그림 / 미래엔아이세움 / 2007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가 보는 색을 실은 반사되어서 흡수되지 않은 색들을 보는 것이다 . 거부되는 색깔들이 인간의 눈에서 멋진 색으로 다시 태어난다고나 할까? 색을 대할 때는 잠깐동안의 아름다움만 감상할 뿐이었다. 색깔 자체가 지니고 있는 정서와 의미는 그다지 생각해 보지 못했는데 색깔 속에도 정말 많은 세상이 숨어있었다.

현대의 색은 정서와 감성의 색으로 많이  인식된다면 과거의 색에는 전통과 많은 의미가 숨어있는 듯하다. 그리고 서양보다는 동양에 그 의미부여가 훨씬 많은 것 같다.

책에서 보여주는 사방수호신과 색, 성장하면서 다르게 받아들여지는 색, 문화 속에 스며든 색의 의미를 찾는 것은 아주 흥미로웠다. 얼마 전에 절찬리에 방송되었던 태왕사신기에 나오는 사신과 그들이 가지고 있는 힘과 색은 책의 도표를 통해서 더 쏙쏙 받아들여졌다. 좌청룡, 우백호, 남주작, 북현무..물론 가운데는 임금을 상징하는 황룡이 자리를 잡고 있다. 이런 사방 수호신이 중국의 것이라고는 하지만 우리나라에 들어와서 또 다른 모습의 사방수호신으로 자리잡지 않았을까 싶다. 각 사방마다 갖고 있는 색은 음양오행의 그것과 일치하는 것이었다. 그렇기에 이 다섯 색을 이용하여 의식주 각 부분에 나타내고자 했던 선조의 손길을 이해할 수 있었다.

갓 태어난 아기에게는 흰배넷저고리를 입혀서 액운을 막고 100일이 되면 흰백설기를 해서 나누어 먹었는데 그것은 흰색에 완벽한 100의 의미를 담고 있기 때문이란다. 그리고 아기가 돌이 되면 입는 오방색의 색동저고리는 다름 아닌 음양오행의 의미를 담아 액운을 막아 잘 자라라는 것이다. 모두 색과 관련하여 나름의 의미가 있고 기원이 있었음을 알아 볼 수 있었다.

태어난 아기에게 흰배넷저고리를 입히듯 장례를 치루면서는 흰옷을 입는다. 이것은 시작과 끝의 의미가 같음을 의미하는 우리나라의 문화적인 특징이다. 동양에서 흰옷이 그런 의미라면 서양에서는 구지 검정옷을 고집하는데 그것은 흰색은 더 슬픔이 강하기 때문이라고 하니 이것도 동서양이 색을 대하는 차이가 아닌가 싶다.

물론 색으로 말하는 여러 나라의 국기의 의미나 생활 속에서 발견하게 되는 색에 대한 이야기가 풍부해서 읽는동안 지루하지 않았다. 아쉬움이 있다면 좀더 선명한 색으로 그림자료가 제공되었으면 하는 것이다.

초등저학년도 쉽게 읽으면서 색에 대한 다양한 지식과 정보를 받아들일 수 있을거라고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