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의 왕과 신하, 부국강병을 논하다
신동준 지음 / 살림 / 2007년 11월
평점 :
절판


우리가 배우는 서양사를 들여다보면서 의문을 갖기 시작한 것은 대입 시험의 압박감에서 벗어나면서부터였다. 고교시절에는 시험을 대비해서 달달 외우면서 의문을 갖기 보다는 암기에만 열중했으나 여유를 가지고 살핀 세계사는 인류의 역사대신 문화적 우월감에 가득한 백인들의 역사를 기술한 것임을 인정할 수밖에 없었다. 그런 역사를 우린 세계사라고 배워왔고 시간이 흐르면서 점차 다른 시각을 가지고 대하는 역사의 묘미에 빠져들지 않을 수 없다.

 

한국사라고 다른가? 사실 인정하고 싶지 않지만 우리 역사인식의 기초는 교과서에서 비롯된다. 싫든 좋든 그렇게 교과서를 통해서 배운 후, 자발적인 혹은 우발적인 습득을 통해 역사에 대해서 점차 눈뜨게 된다. 편협할 지 모르지만 대다수는 그 과정을 겪는다고 본다.

 

역사에 대한 소견이 짧기에 역사책을 보면 늘 호감을 가지고 대하게 된다. 사실 이번 책도 방대한 분량에서 군신의 관계를 엿볼 수 있는 책이기에 무척 기대를 했다. 책을 읽으면서 제목에서 말하듯 군과 신이 부국강병을 논하기보다는 조선의 왕과 신하의 권력구조를 엿보았다고 하는 편이 나을 듯하다.

 

조선 시대의 왕위를 훑으면서 당시의 왕과 신하의 관계를 살핀다는 것은 정말 흥미로웠다. 특히 저자의 시각이 지금껏 알고 왔던 왕이나 신하에 대한 견해를 뒤집어 놓는 것들이 많기에 동조?를 떠나서 새롭게 바라보는 또 하나의 관점을 얻은 것에는 만족한다.

 

역사는 항상 강자의 입장에서 기술된다는 논리에서 본다는 군과 신의 관계에서 조선의 역사는 중조 때부터 신권이 강해졌으므로 결국 왕이 아닌 신하의 입장에서 기술된 역사라는 저자의 논리에 어느정도 타당성이 있을 지도 모른다. 한 나라가 유지되기 위해서는 힘의 균형이 필요하다 .그것은 왕과 신하의 관계에서도 그렇지만 신하간의 관계에서도 그러하다. 우리 역사를 되짚으면서 가장 큰 문제점 중의 하나를 붕당정치에서 찾는다. 파벌 위주의 정치구조가 지금까지 이어져왔고 그런 당파싸움이 나라를 기울게 한다는 점이다. 그러나 저자는 그 점 외에 왕권과 신권 사이에서 지나치게 막강한 신권에 문제점이 있다고 기술한 점이 인상적이다.

 

한참 방영되고 있는 정조에 대한 프로그램을 보면서 누가 왕이 될 건가의 결정이 신하들에 의해서 조작될 수도 결정지어질 수도 있다는 사실을 접하면서 그렇게 신하들의 힘이 막강했던가?라는 의문을 가졌던 것에 어느정도 해답을 찾기도 했다.

 

막강한 왕권에서는 독재라는 폐단을 낳을 수 있다는 것은 너무도 자명한 사실이기에 신권과 왕권이 적당하게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는 생각에는 변함이 없다. 저자의 말대로 막강해진 신권이 나라를 이끌기 위한 권력이 아닌 사리사욕을 채우기 위한권력욕으로 전락했을 때 결국 패망을 불러오게 된다는 점에 동조하면서 지금의 우리는..이라는 질문을 던지지 않을 수 없다. 과거의 역사를 말하면서도 다채로운 시각으로 논하게 되는데 현재를 살고 있으면서 지금의 상황에 대해서 판단한다는 것은 결코 쉽지 않은 일이다.

 

그렇지만 분명한 것은 과거에 대한 탐구는 현실을 떠나서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점이기에 이 책을 읽으면서 지금의 우리는 왕과 신하 중 어느 권력에 치중하는가?라는 질문을 던지지 않을 수 없다. 얼마 남지 않은 대선을 앞두고 불만스러운 고민을 하면서 말이다. 때로는 정조처럼 신권을 이용해서 정치를 할 수 있는 현명한 왕이 나타나기를 기대하는 마음이 과욕일까?

 

조선 왕조사를 왕의 중심사라고만 생각했던 관점에서 벗어나 왕조로 살펴보되 신하와 왕과의 권력구조 면에서 살핀다는 점에서 신선한 재미를 주는 책이었다. 저자의 판단이 옳은지 그른지는 역시 책을 읽는 독자들이 판단할 몫이지만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