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 그게 뭔데? 낮은산 키큰나무 4
베르트랑 페리에 지음, 이선주 옮김, 조승연 그림 / 낮은산 / 2007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른들이 먼저 보아야 할 책.]
 

청소년 도서를 읽을 때는 분명 초등대상의 도서와는 상당히 다르다. 이야기를 풀어가는 구조도 그렇지만 대상을 분명히 어린이로 잡지 않는다는 점이 확연한 차이이다. 보다 심도 있게 아이들의 심리를 다룬다는 점에서 청소년 소설은 내게 읽는데 두려움을 주기도 하고 설레임을 주기도 한다.

 

쉽지 않은 주제인 가정 폭력을 다룬 청소년 도서라고 해서 사실 무거운 마음으로 책을 대했다. 아~ 탄식이 절로 날 만큼 이 책을 무거움에 그 무게가 더해진 버거움으로 다가왔다. 가정에서 벌어지는 수많은 폭력 중에서도 가장 무서운 무관심과 물리적 폭력에 소년은 이미 마음의 상처를 치유할 수 없을 만큼 깊게 입고 있었다.

 

그림 속에 등장하는 소년을 시커멓게 그린 이유는 그 상처받은 마음의 표현이 아닌가 싶은 생각이 든다. 죄책감없이 자신이 낳고 먹인다는 이유만으로 자식을 종속물로 여기고 폭력을 가하는 아버지는 이미 아들에게 아버지가 아니었다. 때리는 자! 정말 섬뜩한 표현임에도 그만큼의 분노가 소년의 가슴에 남아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가정 폭력이 묵인되면서 오래 가는 것은 가정 내에서 가장 큰 힘을 가지고 있는 자에 대한 두려움 때문이기도 하지만 가족이라는 명목으로 묵인하고 개선하고자 하는 의지가 저하된 가족구성원 때문에 더욱 그러하기도 하다. 때리는 자의 옆에 있는 엄마 역시 소년에게는 더 이상 어머니가 아니었다.

 

 

너무도 사실적인 표현에 아직은 초등학교를 다니는 아이에게 권해주기는 두려움이 앞선다. 조금만 더 성숙하면 나와 다른 아이들도 있음을 알려주려고 한다. 사실 이 책은 청소년 도서라고는 하지만 내 가족 외에 무관심한 우리 어른들이 보아야 할 책이 아닌가 싶다. 나만 잘 살고 내 아이만 잘 키운다고 사회 속에서 우리 아이들이 잘 자랄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주위에 관심을 갖고 더불어 잘 살 수 있을 때 그때 우리 아이들도 행복하게 살 수 있는 것이다.

 

내 주위에 혹시 상처받고 있는 아이들은 없는지 돌아보게 되면서 또 한 가지 이런 폭력이 아니더라도 자식이라는 이유로 내가 혹시 아이에게 주는 강압과 마음에 상처를 주는 말의 폭력은 없는지 생각해 보게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