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홍도 - 조선을 그린 화가 어린이미술관 11
진준현 지음 / 나무숲 / 2004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풍속화에 담긴 인간에 대한 사랑]

그림을 그린다는 것은 자신을 표현하는 또 하나의 방법일 것이다. 자신의 내면에 담긴 사상이 그것이라면 김홍도의 그림은 애민, 그 자체가 아닐런지...

김홍도 하면 떠 오르는 것이 조선 서민의 생활이 담긴 풍속화이다. [씨름][서당] 아마도 초등 교과서에서 제일 먼저 만난 그의 그림이 아닌가 싶다.  어려서부터 그림에 특별한 재주를 가진 그는 궁궐 도화서의 화원이 되고 젊은 나이에 어진을 그리는 행운까지 거머쥔다. 우리가 알고 있는 영조의 모습은 바로 김홍도에 의해 그려진 어진일게다. 그렇지만 정작 얼굴은 이명기라는 화원이 그리고 몸 부분을 김홍도가 그렸는데 6.25 전쟁으로 몸 부분이 불타서 정작 글의 어진이라고 보기 어려울 지도 모르겠다.

책을 보면서 많은  풍속화를 기대했는데 그보다 더 생소한 그림이 많았다. 김홍도는 궁궐의 최고 화원으로 기록화를 많이 그렸다. 수원 화성에서 보았던 [화성능행도]의 총책임자가 바로 김홍도였다고 한다. 일부를 그리는 화원이 아니라 총책임자로 지휘했다고 하니 생각했던 것보다 훨씬 중요한 위치에서 그림을 그렸구나 싶었다. 정조 임금의 수원 화성에서의 일들이 기록으로 남겨져 그 시대상을 알 수 있으니 이 역시 단순 기록화라기 보다는 풍속화의 한 부분이 아닌가 싶기도 하다.

이 외에도 신선도나 호랑이 그림도 눈에 띄지만 금강산 그림도 인상적이다. 옹천이라는 작품은 정선이 그린 옹천과 비교 설명된 부분도 부록에 나온다. 정선이 보이는 경치를 개인적인 감각으로 재해석해서 그리기는 반면 김홍도는 사실 그대로 원근을 살려서 그렸다고 한다. 정말 두 작품을 나란히 놓고 보면 그 차이를 확실하게 알 수 있다. 이런 부분은 책을 통해서 얻게 되는 알찬 정보가 아닌가 싶다.

최고의 그림을 그리는 사람으로 세간의 부러움과 인정을 받았던 김홍도. 허나 그의 말년이 병으로 시달리는 힘든 삶이었다는건 정말 생소한 이야기였다. 정조에게 인정을 받은만큼 임금이 돌아간 후 그의 삶은 극도로 빈곤하고 힘들었다고 한다.  [염불서승]이라는 돌아앉은 늙은 스님의 모습은 말년의 자신의 모습을 담아낸듯 하기에 마음 한 구석이 저리기도 하다. 그 뒷모습의 좁은 어깨가 서글프게 느껴진다.

편중되지 않고 김홍도의 다양한 그림을 감상할 수 있고 설명이 어렵지 않아서 아이와 함께 보기에 좋은 책이었다. 그림을 감상하는 것도 좋지만 가끔은 그 그림을 흉내내 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 지금의 나보다는 책을 읽던 딸아이에게 그러하기에 이제는 화선지와 먹을 준비해서 김홍도의 붓놀림을 따라가 봐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