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베르토 풀빛 청소년 문학 5
도나 조 나폴리 지음, 김민석 옮김 / 풀빛 / 2007년 9월
평점 :
품절


[전쟁 속에 내몰린 또 다른 아이들을 만나다]

전쟁..그 황량하고 무지막지한 단어 속에서는 너무도 많은 것이 내포되어 있다. 소수 몇에 의해서 그렇게 언제나 소수에 의해서 전쟁은 자행되고 그로 인해서 피해를 받는 사람들은 수를 헤아릴 수 없을 정도로 많다. 요즘 물밀듯이 쏟아지는 세계 2차대전을 배경으로 한 또 하나의 유대인 이야기가 아닌가 생각하면서 책장을 펼쳤으나 대상을 뜻밖이었다.

유대인이 아닌 독일과 손잡고 세계 2차 대전에 동참한 이탈리아의 13살 소년이었다. 가능한 일인가? 전혀 생각지도 못한 상황이다. 전쟁을 주도적으로 일으킨 나라라면 다소나마 전쟁의 황폐함을 피해가지 않을까 생각했다 .적어도 전쟁에 스스로 참여하기 전까지는 일상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은 삶을 살거라 생각했다. 그렇지만 모든 것이 예상 밖이었다.

로베르토는 친구들과 영화관에 영화를 보러 왔다가 몰려드는 독일군 병사들에 의해서 강제로 전쟁에 징집 동원된다. 독일군은 유대인 뿐만 아니라 자국민이 아니라면 다른 나라의 아이들도 강제로 동원할만큼 냉정했다. 물론 그 우두머리에는 히트러라는 전쟁광이 있었기에 가능한 일이었겠지만 너무도 경악스럽다 .아무런 대비도 예측도 없이 그렇게 많은 아이들이 독일군에 의해서 강제로 공사장에서 노역을 하게된다. 탈출? 발각되면 죽음 뿐이다. 전쟁 속에서 유대인에게 뿐만 아니라 전쟁의 주동자가 아닌 모든 사람에게 자유는 갈구의 대상이 된다. 로베르토에게도 철조망을 사이에 두고 빵과 돌을 주고 받을 유대인 소녀들에게도 말이다.

로베르토는 소녀에게서 받은 돌을 자유와 새로운 시작의 상징물로 여긴다. 탈출을 감행하고 죽을 고비를 넘기고 그 가운데 예상치 못한 사람들의 도움을 받으면서 인간성이 말살된 세상에서 새로운 또 하나의 세상을 건널 징검다리이자 초석이 될 그 돌을 쥐고 로베르토는 이탈리아를 향해 간다. 과연 로베르토는 어떻게 되었을까? 열려있는 결말에 더 가슴을 조이고 그 때문에 로베르토의 앞날에 대해서 더 많은 상상을 하면서 가슴 한 구석이 저려옴을 느낀다.

전쟁 속에서 누구도 자유로울 수 없다. 누군가 가해자가 되고 누군가 피해자가 되면서도 서로를 멍들게 하는 상황. 그 가운데 가장 피해를 보는 건 역시 아이들이다 . 어른들의 이기심은 전쟁을 일으킨 이탈리아의 아이도 피해가지 못했다. 로베르토를 통해서 전쟁으로 상처받는 어린 영혼을 다시 한번 보면서 다시는 이 땅에서 전쟁이 일어나지 않기를 바라고 아무곳도 모른채 총알 받이가 되거나 총칼을 매야 하는 아이들에게 제발 평화가 찾아들기를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