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선비의 방에 놀러가요? ㅣ 민화그림책시리즈 3
윤열수.이호백 지음 / 재미마주 / 2007년 3월
평점 :
품절
[민화 감상 이렇게도 할 수 있네]
대형 전시관이나 미술관에서 흔하게 볼 수 있는 그림들은 어떤 그림일까? 우리 나라의 그림보다는 서양의 내노라~하는 화가나 미술관의 작품으로 주를 이루고 있는 모양새를 보면 안타깝기 그지없다. 방학이나 놀토면 무슨 경쟁이라고 하듯 줄을 서서 작품을 감상하고 보고서를 제출한다고 하는 아이들을 보면서 이 아이들의 머릿속에는 과연 어떤 정서가 자리를 잡을까 생각하게도 된다.
그림에는 문외한이지만 서양의 그림 뿐 아니라 우리의 그림에도 접할 기회를 많이 주어야 한다는 생각을 갖고 있기에 이런 민화 그림책을 보면 너무도 반갑다. 사실 그림 자체만으로는 어떻게 보여주어야 할 지 망막하기에 민화 그림과 글이 접목을 이루어 아이들에게 다가가기 쉽도록 구성되어서 만족스럽다.
선비란 과연 어떤 사람일까? 글공부만 했다는 선비의 방을 구경하는 것은 시대를 뛰어넘어 새로운 공간을 체험하는 순간이 된다. 공부하는 사람인 선비의 방에는 지금과는 너무도 다른 물건들이 즐비하다. 늘 끼고 사는 컴퓨터 대신 종이와 연필도 아닌 붓과 먹과 벼루와 화선지가 자리를 잡고 있다. 특히 문방사우로 불리는 것들을 한자와 함께 종이를 넘기면서 무엇을 뜻하는 물건이고 지금의 어떤 것인지를 가늠해보도록 하면서 슬며시 민화에 대한 호기심과 친근감이 생긴다. 처음에는 낯설었던 선비의 얼굴이지만 선비의 방 구석구석을 살피고 없어진 물건에 스티커도 붙이면서 어느새 친근감을 느끼게 된다. 책의 마지막 부분에는 실린 민화의 출처가 소개되어서 아이들과 직접 가서 책에서 보았던 민화를 찾아보는 것도 좋겠다 싶다.
아이가 얼마 전에 경복궁 체험을 가서 문제를 맞추고 받은 붉은 색의 장원급제 상장을 꺼내들면서 자신도 만약 옛날에 태어났다면 과거에 급제한 선비들처럼 어사화를 쓰고 집에 왔을거라고 한다. 잠깐이기는 하지만 선비의 어사화를 지금에 대입시키는 걸 보면 과거와 현재가 단절되는 것이 아님을 느끼지 않았을까 싶기도 한다. 아이들에게 쉽게 접할 수 있는 우리나라 민화 그림책의 다음 시리즈도 기대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