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토리는 왜 다람쥐 밥이 되었을까? - 반딧불이자연과학동화 2
서석영 지음, 박승범 그림, 권오길 감수 / 웅진씽크하우스 / 2007년 8월
평점 :
절판


[참나무, 이제 확실하게 구분할 수 있네~]

초등3학년인 딸아이가 2학기가 되어 과학시간에 제일 먼저 배운 내용이 바로 나뭇잎에 대해서이다. 나뭇잎과 식물에 대해서 조사를 하고 탁본을 뜨면서 잎의 생김새와 구조를 배우고 있다. 학교에서 내 준 숙제로 참나무의 종류에 대해서 조사를 해야 한다는 아이에게 이 책을 내밀었더니 딱 지금 필요한 책이라고 하면서 정말 좋아한다.

반딧불이 자연과학동화 시리즈 가운데 2번째 책. 이미 1권에서 책의 구성이나 내용이 아이들 눈높이에 맞고 감정 이입을 통해 쉽게 풀어쓰였다는 것을 알았기에 2권도 연이어 보게 되었다. 2권에는 다람쥐와 도토리 이야기, 곤충의 구분에 대해서 나와있다. 먼저 다람쥐를 주인공으로 하여 도토리에 대한 이야기가 담긴 첫번째 이야기는 역시 다람쥐의 시선으로 이야기를 들려준다. 책을 읽으면서 설명조로 일방적으로 정보를 전달하는 방식은 저학년 아이들에게는 그리 흥미를 당기지 못한다. 그렇지만 이 책의 경우는 동물의 시각에서 이야기를 전해받는 방식이어서 서술도 쉽고 흥미롭다. 주인공인 다람쥐가 도토리를 저장하기 위해서 자신의 볼주머니에 도토리를 잔뜩 담아갈 수 있다는 사실 ,앞니가 계속 자라기때문에 이를 갈아야만 하는 설치류에 대한 설명 ,그리고 무엇보다 아이들이 늘 궁금해하던 참나무에 대한 종류와 구분방법은 너무도 유익한 자료가 된다. 이야기 전체 흐름은 쉽게 중간 중간 사진 자료를 이용해서 정보는 짧고 확실하게 전달이 된다. 참나무는 도토리가 열리는 종류를 일컷는 말이지 참나무라는 나무는 없다는 사실을 이번에 확실히 알았다.

두번째 이야기는 곤충의 생김새와 특징에 대한 이야기이다. 누가누가 더 잘났는지 내기를 하는 곤충 하나하나의 특징과 생김새를 설명과 사진으로 만나 볼 수 있다. 곤충전에 가면 늘 나오는 사슴벌레와 장수풍뎅이의 싸움을 보면서 과연 누가 힘이 더 셀까 궁금해했었는데 역시 힘으로는 장수풍뎅이를 당하는 벌레는 없는가 보다. 그래서 이름도 장수풍뎅이라고 지었다는 걸 확실히 알았다. 곤충들이 허물을 벗는 과정에서 성충이 되는 우화이야기도 듣고 짝짓기를  하는 법이나 다양하게 알을 낳는 방법까지 책속에서 만날 수 있다.

맑은 생태계에서 사는 반딧불이처럼 자연을 사랑하는 마음을 전하고자 한다는 시리즈의 취지에 맞게 다음편에서도 새로운 동물들의 눈을 통해서 자연을 만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잠못드는밤 2007-09-07 14:2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우리 아이도 2학년인데 숙제가 가면 갈수록 어려워지네요.ㅡㅡ;;
내년엔 또 그런것을 배우는군요.
저도 미리 준비해둬야겠습니다. 추천 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