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으로서의 철학, 소크라테스의 변론 나의 고전 읽기 8
플라톤 원저, 나종석 지음, 신준식 그림 / 미래엔아이세움 / 2007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철학을 이야기 할 때 가장 먼저 생각나는 사람은 소크라테스다. 마치 철학의 시조이듯이 말이다. 소크라테스를 떠올리면 그의 제가 플라톤은 한 쌍인듯 생각이 난다. 스승과 제자이면서 동시에 많은 배움을 주고 받았을 그들.. 소크라테스의 변론은 당사자인 소크라테스가 아닌 그의 제자 플라톤에 의해서 쓰여진 책이다. 

 

제자 플라톤에 의해서 엮어진 변론은 죽음을 문전에 두고 자신이 왜 죽을 수 밖에 없는가 가장 타당하게 여기는 자신의 상황에 대한 소크라테스의 말들로 엮인다. 책을 읽기전에는 고리타분한 관념적인 내용이 주를 이루지 않을까 염려했는데 한 장 한 장 넘기다 보니 묘한 매력이 느껴졌다. 소크라테스의 변론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최초의 민주주의 국가였다고 하는 그리스의 진실된 상황을 알고 넘어가야 하기 때문이다.

 

가장 민주적인 것은 무엇인가? 모든 사람의 목소리를 담아내는 것? 그런 통일된 목소리의 배후에는 개인의 자유로운 발상은 뒷전으로 한 채 획일적인 사상을 담아내려는 지배계급의 조정이 있었다면 이야기는 틀리다. 아~ 이런 것이 오해의 시작이구나 싶었다. 일반적으로 알고 있던 민주국가 그리스는 애초부터 민주적이라기 보다는 소크라테스를 필두로 시작된 개인 사상의 자유가 보장된 자기 변론에서 시작되었다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그의 주장이 100% 타당하기 보다는 당시의 시대 조류에 가장 반항적이고 요지부동이었다는 사실이 제자인 플라톤에게도 저술을 남길 수 있는 큰 이유가 되었을 것이다. 타협하는 스승을 보았다면 이들도 상황에 맞추어 말을 바꾸는 괴변론자가 되었을 지도 모른다.

 

뭐든지 처음부터 자연적으로 최고의 가치에서 이루어는 것은 없다. 전체의 횡포, 기존의 규격과된 가치관에 대한 반항없이는 진화는 이루어질 수 없는가 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