히틀러 - 혼돈의 시대가 낳은 위험한 영웅 아이세움 역사 인물 12
브렌다 하우겐 지음, 이남석 옮김 / 미래엔아이세움 / 2007년 7월
평점 :
절판


[역사의 심판 앞에 선 세기적 독재자의 야망]

 

천하의 독재자, 유태인 말살정책의 선두자 등 히틀러를 수식하는 말은 수도 없이 많다 .모든 사람이 인정하는 공통점이 있다면 히틀러는 세기적 독재자라는 점일 것이다. 사실 히틀러에 대해 부분적으로만 알고 있었기에 이 독재자의 어린 시절과 일상이 어땠는지 참으로 궁금해 하면서 책을 접했다.

가장 인상적인 것은 히틀러의 유년시절이다. 타고난 기질이라고 말하기 전에 성인이 되어 갖는 인성과 사고방식의 모든 기초는 유년시절에 이루어진다고 한다. 정말 히틀러의 유년시절은 남다르다. 어머니의 극진한, 사실 지나치게 보살핌을 받으면서 자란 히틀러는 고집센 아이였다. 남다른 자기 우월성과 자신이 원하는 것과 아닌 것의 구분을 차가울 만큼 명확하게 하면서 행동하는 히틀러는 평범한 아이는 아니었다. 화가를 꿈꾸는 자신의 길이 막힌다고 생각하자 월반을 거부할 정도였으니 말이다. 뛰어나게 명석하지만 그릇된 가정교육이 사람을 사회 속에서 사람이 성장하는데 도움이 되지 못한다는 것을 충분히 엿볼 수 있었다.

그렇게 화가 생활을 하면서 이전에 갖고 있던 게르만 족의 우월함과 유태인에 대한 편견이 점차 자리매김하는 과정을 보면서 사실 이해 되지 않는 부분이 많았다. 당시 유태인은 그 우월감에 차 있어서 다른 민족의 환영을 받지 못한다는 것은 알고 있었지만 그에 대한 반감으로 이렇게 강한 자기 민족의 우월감과 타 민족에 대한 배타감을 갖는게 가능할까? 이에 대한 이해도 히틀러의 유년시절의 개인적인 성향에 맞추어 이해를 하고자 한다면 가능하겠다 싶기도 하다. 자신이 옳다고 생각하는데는 끝을 보는 성격이었으니 말이다.

1차 대전 후 히틀러의 타고난 대중을 압도하는 연설과 군중을 이끄는 탁월한 수완은 그가 총리직에 있으면서 여실히 들어난다. 히틀러는 지도자의 자리에 올라서 자신이 추구하던 바를 실행에 옮긴다. 나치에 의한 혁명이 실패로 돌아갔을 때 칩거하면서 집필했다던 [나의 투쟁]이 현실화 되는 것이었다. 유태인에 대한 탄압의 강도가 높아지자 도피하는 혹은 투쟁하는 유태인들이 늘어가고 그런 중에 그린츠판에 의한 독일대사관이 총격을 당하자 본격적이 유태인 몰이에 들어간다. 수많은 사람들이 비밀경찰인 게시타포에 끌려서 게토로 이동하고 그 곳에서 짐승같은 생활은 물론 대량 살육을 당하기도 했으니 말이다.

히틀러의 마지막이라  추정되는 그 순간에도 전쟁의 승리에 대한 강한 자신감을 갖고 있었던 히틀러는 분명 광적인 전쟁옹호자였다고 생각된다. 1차 대전 후 극도의 침체기에 있던 독일 국민에게는 히틀러가 발전과 변화의 원동력이 된다고 여겨졌기에 수많은 사람들의 지지를 받았겠지만, 히틀러가 없는 지금까지도 독일에는 나치와 히틀러의 만행에 대한 책임과 사죄가 끊이지 않고 있다. 바로 그것이 현실이고 역사인 것이다.

처음에는 힘에 의해서, 혹은 자국의 이익을 위해서 타당하게 여겨졌던 것들이 인륜을 저버리는 도저히 용납될 수 없는 그것이라면 시간이 흐른뒤 역사의 심판을 받게 된다는 사실 말이다. 그렇기에 위대한 인물은 아니지만 역사의 한 획을 그었던 악랄한 독재자로 히틀러를 배우고 기억해야 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