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구려 고분벽화 이야기
전호태 지음 / 사계절 / 2007년 8월
평점 :
절판


[정말 만나고 싶었다-고구려 고분 벽화의 모든 것]

 

 작년부터 박물관과 궁을 돌아다니면서 우리 문화에 많은 관심을 갖고 있다. 다닌다는 의미는 관심의 가장 적극적인 표현일 것이다. 그만큼 우리 역사와 문화에 대한 관심이 점점 높아지는 시점에서 정말 소중한 책 한권을 만났기에 기쁨이 크다.

 
집 가까이에 있는 중앙박물관에 가면 고구려 고분벽화의 그림을 만날 수 있다. 안악3호분의 그림을 뚫어져라 쳐다보면서 왜 이런 그림을 그렸을까 그 궁금증이 가시지 않았다. 또한 오랜 세월이 지난 지금도 벽에서 금방 사람이 튀어나올 듯한 생생한 그림을 그린 고구려인들. 그들의  벽화그리는 방법은 물론 삼국의 다른 나라에 비해서 유독 벽화가 발달한 그 배경이 너무도 궁금했다.그러한 궁금증을 풀어줄 책이기에 고구려 벽화에 관심을 갖은 많은 사람들에게 소개하고 싶은 마음이다. 

 
책의 삽화는 한국생활사박물관의 그것이 많인 들어가 있어서 책에 대한 신뢰감을 높여준다. 생각보다 상당히 높은 수준의 세세한 정보가 많이 담겨있는 책이다. 고구려 사람들이 벽화고분을 만드는 방법, 언제부터 벽화가 시작되었는지, 그리고 죽어서도 지금과 같은 집을 갖게 하기위해서 벽의 방방마다 집을 그대로 옮겨놓은 듯한 그림들, 무엇보다 이 벽화가 오랜 세월 유지될 수 있었던 벽화를 그리는 물감의 비밀과 숨쉬는 벽화 이야기 ...그동안 내가 알고 있던 것을 비교도 되지 않을 만큼 많은 정보들이 실려있다. 

 

사실 그동안 어른들을 대상으로 나온 고구려 벽화에 대한 책을 보기는 했지만 쉽지가 않고 글줄이 방대해서 아쉬움이 남았다. 이 책은 초등고학년부터 어른에 이르기까지 독자층을 폭넓게 가져도 될 만큼 많은 자료를 담고 있고 무엇보다도 그림과 사진자료가 풍부한 점을 장점으로 들 수 있다. 무덤을 만드는 과정, 벽화를 그리는 과정, 벽화의 여러 그림을 부분 혹은 전체 확대한 그림을 수도 없이 대할 수 있는 점이 책을 대하는데  호기심과 만족감을 높여준다.

 

책일 읽다보면 이러한 고구려의 고분이 모두 중국에 산재되어 있고 지금 그것을 관리하고 있는 주체가 우리 나라가 아닌 중국이라는 점에서 안타까움을 느끼게 된다.게다가 벽화도 숨을 쉰다는데 중국에서 벽화의 손상을 막는다는 이유로 화학제품을 발라서 벽화의 손상을 가속시켰다는 이야기를 들으면서 일제 감정기때 일본인들에 의해서 해체되고 어처구니 없이 시멘트 옷을 입은 석굴암의 비애까지 떠오른다.

 
어디서든 자국의 문화와 역사를 지키기 위해서는 나라의 힘을 기르고 또한 자국 문화에 대한 가치를 인정하고 알아가는 과정이 필수라고 생각된다. 그러기에 이렇게 우리 문화의 가치를 알아갈 수 있는 책을 만나는 것은 우리 아이들의 미래를 제대로 키워주는 영양분을 만났다는 느낌이 든다. 

 
자료 면에서 튼실하고  충분한 가치가 있기에 좀더 많은 사람들이 이런 책을 집에 구비하고 자주 들춰 볼 수 있기 바란다. 더불어 아이들과 종종 가게 되는 박물관 견학에도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