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들을 사랑한 유대인의 영웅 - 유대인 대학살과 야누시 코르착 이야기 인문 그림책 7
데이빗 A.아들러 지음, 임후성 옮김, 빌 판즈워스 그림 / 미래아이(미래M&B,미래엠앤비) / 2007년 6월
평점 :
품절


[사랑을 나눌 수 있는 삶이 전해지길 바라며]

 

아이에게 책을 읽어주는 내내 마음이 무거웠다. 그 결말이 너무도 끔찍함을 알기에 책장을 넘기는 손길이 무거울 수밖에...유대인 학살을 다룬 책은 역사적 사실임에도 그 이야기를 아이들에게 전해주기가 정말 무섭다. 사람이 사람으로써 행할 수 있는 극악무도함의 끝은 들려주어야 하기 때문이다 . 게다가 그것이 바로 역사의 한 부분임을 인식시켜야 하기에 더욱 그렇다.

 

유대인이 아니면서 유대인을 구하기 위해서 노력했던 쉰들러에 대한 영화를 기억하면서 코르착을 읽었다. 코르착은 폴란드 태생의 유대인으로 어릴적 이름은 헨리크 골드슈미트이다 .어린 헨리는 부모에게서 ' 꿈이 없는 아이, 바보 같은 아이'로 불릴 만큼 소외된 아이였다. 그러나 책을 가까이 하는 코르착을 '꼬마 철학자'라고 인정해 주는 식구도 있었다. 듀대인임이 들어나지 않게 하기 위해서  헨리크라는 이름 대신 사용하게 된 야누시 코르착은 그의 삶을 바꾸게 된 계기가 되었는지도 모르겠다. 유대인 고아원의 원장이 되어서 아이들을 돌보고 아이들을 위한 책도 썼던 코르착은 그 자체만으로도 칭송받을 많한 사람이다. 그런 코르착이 더 없이 위대한 사람으로 느껴지는 건 나치의 탄압에도 굴하지 않고 오직 아이들만을 위해서 살고 생각했다는 점이다.

유대인 집단수용소인 게토에서 아이들과 생활하게 된 코르착은 매 순간 아이들을 위한 걱정뿐이었고 대학살이 행해지는 곳으로 옮겨가는 와중에도 두려움에 떠는 아이들을 달래기 위해서 자신이 지은 동화의 한 장면을 연출하면서 행군을 했으니 말이다. 살아남을 수 있는 마지막 기회도 저버리고 끝까지 아이들과 마지막을 함께 한 코르착을 보면서 진정 사랑의 의미를 안 인간다운 인간이었음에 고개가 숙여진다.

세계 곳곳에서 전쟁이나 기아에 허덕이는 아이들을 코르착이 본다면 과연 어떤 말을 할까? 지금의 안일한 일상에 안주하고 이익에 급급하는 어른들에게 일침을 가하겠지..모든 것은 자의가 아니면 그 위력을 발휘하기 힘들다. 코르착의 삶을 통해서 함께 살아가는 세상의 사랑이 우리 아이들에게 전해질 수 있기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