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방학 중 아이들과 읽어 볼 ..
감자 하나 감자 둘 그림책 보물창고 36
신시아 디펠리스 지음, 황윤영 옮김, 앤드리아 유렌 그림 / 보물창고 / 2007년 7월
평점 :
절판


[욕심없는 부부에게서 배운 풍요로운 마음]

 

 

표지에서 감자를 바라보고 있는 가난한 노부부의 표정이 너무도 온화했다. 다른 것보다 그 온화하고 너그러운 표정에 마음이 빼앗겨서 책에 관심이 갔다. 금덩이도 아니고 감자를 바라보는 이들에게는 과연 어떤 일이 벌어졌던 것일까?

 

아마도 한 번쯤은 들었음직한 이야기일게다. 가난한 노부부는 자식들을 모두 키운 후 쓸쓸한  삶을 살고 있다. 쪼들리는 와중에도 부부는 나누어 먹을 감자 하나만 있어도 감사하면서 사는 사람들. 이들에게 작은 것 하나도 서로 나누면서 감사히 살고 있지만 마음 속에 담고 있는 작은 소망이 한가지씩 있다. 바로 자신의 이야기를 들려주고 함께 나눌 친구였던 것이다. 

그런 중에 밭에서 일하던 남편은 커다란 솥을 발견한다. 이 솥은 물건을 집어 넣으면 둘이 되어 나오는 신기한 솥. 무심코 집어 넣은 감자가 둘이 되어 나오고, 하나 뿐인 할머니의 머리핀이 둘이 되어 나오고..부부는 유일하게 가지고 있던 금화를 넣어서 많은 금화도 만들어 낸다. 그렇지만 금화보다도 더 소중한 것을 얻게 되니 그건 바로 자신의 분신이자 벗이 될 사람이었다.

우연히 솥에 빠진 할머니는 또 하나의 똑같은 할머니를 만들어 내고 이윽고 할아버지도 똑같은 또 하나의 자신을 만들어 낸다. 왜였을까? 이들에게는 함께 지내면서 이야기를 나누고 외로움을 달래줄 친구가 필요했기 때문이다. 노부부는 금화를 얻었을 때보다 친구를 얻었을 때 더한 기쁨을 느낀다. 그리고는 자신들처럼 이 솥이 필요한 누군가에게 또 다른 기회를 주기 위해서 솥은 땅에 묻게된다.

 

화수분처럼 필요한 것을 넣기만 하면 또 다른 하나를 만들어내는 신기한 솥은 노부부에게 가장 소중한 친구를 선물했다. 이들이 조금만 더 욕심있던 사람들이라면 이렇게 결말이 나지는 않았을 것이다. 그렇지만 이 노부부에게는 자신에게 필요한 것을 얻고 만족할 줄 아는 넉넉하고 풍요로운 마음을 지닌 사람들이다. 아이들이 이 책을 읽으면서 찾아야 할 부분은 솥의 신기함보다 이 욕심없는 노부부의 풍요로운 마음이 아닐까 생각한다. 내게 이런 솥이 생기면 난 과연 어떻게 할까? 곰곰히 생각해 보면서 이 노부부의 미소를 다시금 보게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