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방학 중 아이들과 읽어 볼 ..
28자로 이룬 문자혁명 훈민정음 나의 고전 읽기 9
김슬옹 지음, 신준식 그림 / 미래엔아이세움 / 2007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형식이 아닌 뜻으로 만나는 훈민정음]

 

작년인가 한글을 주제로 다룬 역사추리 소설에 매료되었었다. 공기를 마시면서 그 가치를 모르듯 세종 대왕과 집현전 학자들의 피땀으로 만들어진 한글의 고마움 역시 느끼지 못하면서 사용하고 있었다. 안다는 것과 모른다는 것의 차이는 천지 차이이다. 

우리는 항상 한글을 사용하고 있기에 그 우수성과 과학성에 대해서 간과하지만 오히려 외부에서는 그 가치를 높게 평가하고 세계 문화유산으로 지정하기까지 했다. 외부적인 자극이 먼저 일수도 있지만 점차 한글에 대한 가치를 우리 스스로 높게 평가하고 좀더 우리 것에 대해서 알고자 하는 움직임이 활발해지는 것은 정말 반가운 일이 아닐 수 없다.

그동안 훈민정음이라고 하면 고등학교 국어 시간에 훈민정음의 창제 배경과 제작 원리에 대해서 배우고 고전에서 그 변화 과정을 분석하곤 했던 기억이 난다. 어떻게 보면 가치적인 면은  형식적으로 배워 넘기고 형식에만 치중하고 원리를 따지는 작업만 했던 것 같다.

그렇지만 정말 중요한 것은 훈민정음이 만들어지기까지의 배경과 그 속에 담긴 우수성 ,그리고 애민정신이 가득했던 마음일 것이다. 훈민정음이 만들어지는 과정에서 가장 적이 되었던 것은 중국이 아니었다. 중국을 섬기던 사대부들, 실은 자신들의 기득권을 잃을까 두려워했던 우리 지배계층의 저항이 가장 거세었다. 문자를 사용할 줄 안다는 것은 그만큼 영향력이 넓어지고 박식해지고 정당함과 그름을 따질 준비를 하게 되는 것이다. 그렇기에 세종이 훈민정음을 창제하는 과정에 저항하던 지배세력이 막강했음을 짐작하고도 남으며 창제와 반포 시기의 차이, 그리고 양반네들 대신 여인들과 평민들에게 주로 사용되었음에서 모두 알 수 있다.

모든 사람들이 사용할 수 있는 쉬운 글자를 만들기 위해서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많은 노력을 기울여 세상 어디에도 없는 유래와 원리를 알 수 있는 가장 과학적인 문자를 만들어 냈다. 그리고 우리는 그 문자를 지금껏 사용해 오고 있다. 필자의 세세한 훈민정음 혜례본의 분석과 창제 배경 이야기를 들으면서 고마운 마음이 들었다. 수박 겉핥기가 아니라 정말 사랑하는 마음으로 우리 것을 먼저 알아야 한다는 것은 너무도 자명하다. 내 자식을 내가 사랑해야 밖에서도 사랑받는 사람이 되듯 우리도 남이 아니라 우리 스스로 우리 것에 대한 애정을 가져야겠다.

저자의 말을 통해서 아이세움에서 고전읽기 시리즈를 내면서 훈민정음을 가장 첫 째권으로 펴내고 싶어했다는 말을 들으면서 나 역시 너무 고마웠다. 대입 논술을 위한 고전읽기가 아니라 청소년들이 알아야 하는 삶의 고전을 펴내고자 하는 마음을 엿보았다. 앞으로도 멋진 고전 시리즈가 계속되길 바란다.

 

또 한가지!! 일본이 임금님이 사는 궁을 점령하면서 4대문 가운데 가장 먼저 입성했던 숭례문..그를 기해서 일본인들에 의해서 국보 1호로 지정되었다고 하는데...일본인들에 의해서 매겨진 국보가 아닌 우리 민족성을 가장 잘 담고 있는 [훈민정음 혜례본]이 국보 1호가 되는 날을 간절히 바라는 마음까지 담아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