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방학 중 아이들과 읽어 볼 ..
천재와 괴짜들의 이야기 과학사 아이세움 배움터 18
존 타운센드 지음, 이충호 옮김 / 미래엔아이세움 / 2007년 7월
평점 :
절판


[실감나는 사진과 함께 듣는 과학 이야기]

 

사실 이 책을 보면서 책의 제목보다도 '아이세움 배움터 시리즈'라는 점에 더 신뢰가 갔다. 배움터 시리즈는 대체적으로 심도있는 내용으로 아이들의 눈높이에 다가가려는 정보들로 채워진 책으로 알고있기 때문이다. [돌도끼에서 우리별 3호까지 ]라는 책에서 우리 과학사를 쉽게 접해주던 기억을 갖고 책을 대했다.

이 책은 우리 과학사가 아닌 서양인에 의해 기술된 과학사로 크게 네 부분으로 기술된다. 원자에서 핵융합까지 파헤쳐낸 물리학의 역사, 금을 만들고자 했던 연금술에서 시작된 화학의 역사, 자연에서 얻은 효모에서 유전자 연구에까지 이른 생물학의 연사, 그리고 마지막 둥근 수레바퀴에서부터 모든 생활 속의 발명을 이루어낸 발명의 역사

과연 어느부분인지 모호하던 그것이 이렇게 분류된 틀 안에서 물리학인지 화학인지 생물학인지 구분하면서 그 변화과정을 엿볼 수 있다. 어느것 하나 신기하지 않은 것이 없고 과학자들의 끈질긴 노력과 열정이 담기지 않은 것이 없다는 것을 알게된다.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피뢰침을 발명한 프랭클린의 업적만 알고 있었으나 그의 실험을 뒤쫓던 많은 사람들이 벼락에 목숨을 잃기도 했다는 사실에 과학은 혼자만의 힘으로 이루어지는게 아니다라는 생각이 들었다.

책에서 과학자들의 시대별 주요 활동이 너무 나열되어서 다소 정리가 안되는 느낌이 들기도 하는데 각 파트를 읽고 나면 '물리한 역사의 중요한 사건'식으로 정리가 되어서 연대별 정리를 보면서 읽었던 내용을 다시 한 번 확인 정리하게 된다.

가장 마음에 드는 것은 과학자들의 기발한 탐구의 세계를 멋진 사진과 함께 만날 수 있다는 점이다. 내용만 나열되었다면 다소 지루한 감이 없지않아 있었을 텐데 실감나는 사진과 그림을 보면서 지루하지 않게 책을 읽을 수 있다. 과학자의 꿈을 키워가는 아이들에게는 더 없이 좋은 만남이 될 도서인 듯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