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안의 창의력을 깨우는 일곱가지 법칙
켄 로빈슨 지음, 유소영 옮김, 백령 감수 / 한길아트 / 2007년 5월
평점 :
품절


[사회와 더불어 키워지는 창의력]

 

사실 나는 창의력이라는 말에 약간의 불신을 갖고 있다. 주변에서 너무 난무하는 창의력이라는 말과 이를 키워주기위한 갖가지 교육을 한다는 학원과 수 많은 책들..창의력이라는 말의 난무가 창의력의 부재감이 들게 한다는 것은 나만의 생각일까?

 예전에는 학교에서 배운 내용을 달달 외우고 시험을 잘 보는 학생이 우선이었다면 지금은 이런 아이보다는 창의적인 생각을 가지고 남과 다른 생각으로 자신만의 독특함을 키워가는 아이들이 나중에 원하는 일에 한 발 더 다가갈 수 있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너도나도 남과 다른 새로운 생각-일명 그것을 창의력이라고 생각하면서 이를 키우기 위해 안달이다. 그렇다면 남과 다른 생각을 하기만 한다면 그것이 과연 창의적인 생각인가? 이에도 역시 의문을 갖지 않을 수 없다. 과연 무엇이 창의력인가에서부터 시작되는 의문을 풀기위해서 간만에 선택한 이 책은 사실 내게 명쾌한 답을 주지는 못했다.

[내 안의 창의력을 깨우는 일곱가지 법칙]이라는 묘한 매력을 가진 제목에 혹했는데 책의 내용은 제목과는 상당한 차이를 보였다. 내 안의 창의력을 깨우는 법칙이라는 말에서 생활 속에서 무감, 혹은 일상에서 벗어난 새로운 감각을 깨우는 방법을 기대했는데 이와는 달랐다. 교육적으로 혹은 역사적으로 사회적으로 창의력을 키우는데 모두 공감하지만 실상 이와 반대의 길을 걷고 있었다는 비판적인 시각에서 이야기 전개가 된다. 가볍게 책을 접하고자 하는 사람들에게는 적잖은 실망을 주는 버거운 책이 될런지도 모르겠다.

그렇지만 이제껏 깊게 생각해 보지 못했던 사회적인 측면, 교육적인 측면, 역사적인 측면에서의 창의력에 대해서 생각해 볼 기회를 갖은 것 같다. 우리 나라에서는 보다 진취적이고 개방적인 사고를 배우고자 서구로 교육을 받기위해 떠나는 사람들이 많은데 사실은 서양에서도 우리와 마찬가지로 창의력을 키우는데 난관을 가지고 있다는 부분에서는 사람의 동질감같은 것도 느껴진다. 우리가 갖고 있는 막연한 서양에 대한 동경이 여실히 깨지기를 바라는 입장에서 이런 솔직한 저자의 진술은 반갑기까지 하다. 서양이든 동양이든 사람의 창의력을 키우고자 하는 생각에는 동일하지만 그에 대한 모순과 어려움을 겪는다는데에 동감하면서 사고의 교류와 교육의 교류가 좀더 활발해 져야 하지 않는가 하는 생각을 해본다.

내 안의 숨어있는 창의력을 깨우는 테크닉을 전수받고자 했던 기대감에 책을 대했을 때는 책의 내용이 무겁고 개인이 아닌 사회에 대한 이야기이기에 당황스럽고 무거웠지만 나름 새로운 시각으로 창의력에 대한 생각을 할 수 있었던 기회인 것은 분명하다. 가볍게 쉽게 얻어지는 것은 세상에는 없는가 보다. 개인의 창의력이 문제가 아니라 사회의 힘으로 키워지는 창의력이 이제는 필요하다는  생각이 든다. 잘은 모르겠지만 내 아이에게 키워주고자 하는 창의력은 부모인 내게서 가장 많이 키워질 수도 있고 가장 억눌릴 수도 있다는 생각을 다시 한 번 하면서 대화와 교육의 중요성도 더불어 느끼게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