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고 보면 더 재미있는 풀꽃 이야기 알고 보면 더 재미있는 시리즈 2
현진오 지음, 이승현 세밀화, 고상미 그림 / 뜨인돌어린이 / 2007년 6월
평점 :
절판


[토종 식물에 대한 이야기도 함께 배우세요]

 

알고보면 더 재미있는 시리즈는 첫 시리즈부터 계속 관심을 가지고 보는 책이다.

나무 이야기 ,곤충 이야기에 이어서 세 번째로 출간된 시리즈는 [풀꽃 이야기]이다.

봄이면 길가 여기저기에 피는 풀꽃들을 보면서 정말 궁금하던게 많았는데

이번 책을 통해서 또 한번 봄과 여름 내내 옆구리에 끼고 다닐 책 친구를 하나 만나게 되었다.

 

도감에서는 사진과 함께 꽃의 종류와 이름에 대한 사전적인 의미만을 찾을 수 있다면 이 책에서는 도감에서는 결코 찾아 볼 수 없는 꽃의 개인사가 다루어졌다고 하면 좋겠다. 왜 그런 이름을 가졌고 우리나라 사람들의 생활과는 어떤 인연을 맺고 있고 어떻게 이용되는지...

 

물론 그동안 꽃이름이나 쓰임새 등 이야기를 담아낸 책을 여럿 보기는 했지만 이 책에서는 조금 더 다른 부분을 찾을 수 있었다. 그것은 바로 우리나라의 토종 풀꽃과 외국에서 들어와서 토착화 된 귀화식물의 선명한 구분과 설명이라는 부분이다.

 

우리가 길에서 흔히 만나는 민들레는 지금 우리 토종 민들레가 아니다. 눈씻고 찾아 봐도 토종민들레를 찾을 수 없다. 모두 외국에서 묻어 들어온 서양민들레 뿐이다. 구분을 하자면 서양민들레는 꽃받침이 뒤로 꺾여있고 꽃대도 무섭게 굵으며 사시 사철 꽃을 피운다. 그만큼 번식력이 강해서 토종민들레의 자리를 꿰차고 길가 여기저기에서 무섭게 번식을 하고 있는 것이다.

 

그게 무슨 상관이냐고 할 사람도 있지만 우리 땅에 자리잡는 외래 식물의 번식력을 안다면  결코 흘려버릴 일이 아님을 알게 된다. 외래식물이라고 하면 외국에서 들어온 식물 전체를 말한다. 그 중에서 사람의 손을 거쳐 재배되는 것이 아니라 혼자 번식력을 가지고 우리 들과 산에 자리를 잡고 자라게 되면 귀화식물이 된다. 귀화식물은 외래식물로 우리나라 식물처럼 되어 버린 것들이다. 이것들의 공통적인 특징은 무서운 번식력이다. 번식력이 좋아서 계절을 가리지 않고 공해의 정도도 가리지 않고 번지고 자란다. 그래서 생태계가 파괴된 자리에서 제일 먼저 자리를 잡는 것도 바로 이 귀화식물들이라고 한다.

 

길에서 흔히 보는 개망초, 돼지풀, 환삼덩굴, 서양민들레 ,토끼풀 ...모두 귀화식물들이다. 귀화식물이 그만큼 널리 자란다는 것은 우리 환경이 그만큼 오염되어서 토종식물 대신 번식력이 좋은 귀화식물이 자리잡는다는 사실을 알아야 한다.

 

저자는 산에 길 하나 내는 것은 토종식물의 삶의 터전을 파괴하는 대신 번식력이 좋은 귀화식물의 집을 하나 내주는 셈이라고 한다. 식물 자체는 분명 우리에게 도움이 되겠지만 우리 땅에 우리 것이 아닌 외래 식물로  덮히게 된다고 생각하면 마음이 무거워진다.

 

책속에 풀꽃에 대한 정보도 다양하게 얻지만 또 하나 우리 토종식물에 대한 사랑과 보존의 마음도 함께 얻을 수 있다는 점에서 우리 아이들에게 권해주고 싶은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