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한 왕자 - 반양장 동화 보물창고 17
오스카 와일드 지음, 소민영 옮김, 나현정 그림 / 보물창고 / 2007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행복한 왕자라는 제목만으로는 아동그림책을 연상하게 되는데 작가인 오스카 와일드를 보면 다시 생각이 달라진다. 오스카 와일드 결코 평범하게 살았던 인물이 아니기에 더 그런가? 아니면 그의 사회 비판적인 시각을 다른 작품 속에서 맛보았기 때문일까?

오스카 와일드는 사회비판적인 시각이 강했던 작가이다. [행복한 왕자]도 동상이 된 왕자가 자신이 보는 불쌍한 사람들을 위해서 제비를 통해서 하나씩 나누어주는 미덕을 지닌 착한 왕자로만 볼 수도 있지만 그림책이 아닌 원작에서는 이보다 한층 더 많은 것들을 들여다 보게 된다.  행복한 왕자는 나누어 주기 전에 이미 너무도 많은 것을 소유하고 자신만의 행복을 누린 왕자였다. 그의 작품 속의 왕자는 왕자라기 보다는 예술가를 뜻한다고 한다. 예술지상주의자라고 불리던 오스카 와일드는 모든 것은 예술을 통해서 승화되고 치유되고 바로잡아져야 한다고 생각한 작가이다. 그의 작품 속에서의 왕자도 왕자의 이름을 빈 예술가를 말한다. 세상은 예술가의 노력을 통해서 치유되고 나아져야 한다는 그의 믿음이 바탕에 깔려있다는 것을 알게되면 그림책으로 아이에게 읽어주던 [행복한 왕자]가 참 다르게 와 닿게 된다.

오랜만에 만난 [행복한 왕자]는 행복한 왕자이기 전에 예술가로 세상을 치유하면서 살고자 했던 오스카 와일드를 만나는 또 한번의 경험을 하게 해 주었다. 책을 읽고나니 그의 다른 작품을 뒤적이거나 혹은 오래전에 만들어진 오스카 와일드를 다룬 영화가 보고 싶어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