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이름은 임마꿀레
임마꿀레 일리바기자 외 지음, 김태훈 옮김 / 섬돌 / 2007년 5월
평점 :
절판


[용서와 화해의 길을 걷고자하는 한 여인을 만나다]

 

사실 이 책을 읽기 전에는 르완다 내전의 참상을 속속들이 알고자 했던 욕구가 강했다. 그렇지만 책을 읽고 난 다음에는 임마꿀레, 그녀의 침착하고  화해와 평화의 갈망하는 나지막한 목소리에 경건함을 느끼게 된다.

우선 이 책에서 비판적인 시각을 기대한 사람들은 다소 실망했을 것이다. 임마꿀레가 들려주는 르완다 대학살의 모습은 그 당시의 생생한 기록을 담고 처참했던 상황을 보여주기는 하지만 개인사를 중심으로 풀어가고 죽음의 문턱까지 다녀온 그녀의 용서와 화해를 구하는 온화함에 당황하게 된다. 이 책의 가장 큰 특징은 그녀가 대하는 삶에의 태도이다.

1994년 르완다에서는 감히 상상할 수도 없는 끔찍한 대학살을 동반한 내전이 이루어졌다. 그 배경을 보면 정말 치를 떨지 않을 수 없는 상황이다. 르완다는 투치족 국왕에 의해서 통치되던 상황이었고 이런 상황은 인위적이라기 보다는 르완다 내부에서 이루어지고 쌓여온 자연스러운 정치 상황이었다. 아프리카의 이런 나라에 서양의 강대국이 개입하면서 나라의 분쟁이 시작된 것이다.  벨기에가 르완다에 개입을 하면서 서구열강에 의한 르완다의 내분은 시작되었다. 그 과정을 보면 정말 치졸하기 그지없다. 벨기에는 르완다를 좀더 수월하게 통치하고자 지금껏 서양강대국이 보여주었던 똑같은 행태를 보여준다. 그것은 여러 민족간의 경쟁을 강화하고 유독 한 종족에게 과대한 신뢰를 보이는 것이다. 그 대상이 바로 투치족이었다. 투치족은 지금껏 르완다를 통치하고 있었으나 벨기에가 개입하면서 강압적으로 이들에게 특혜를 줄 때는 상황이 전혀 달라지게 된다. 이제는 더 이상 자국민에 의해서 자연스럽게 형성된 지배관계가 아니라 강대국을 등에 업고 나선 꼴사나운 독점 지배계급 투치족이 되고 만것이다. 이것으로 투치족만의 특혜에 반감을 가진 후투족과의 갈등이 시작되었다. 투치족은 이런 상황을 간파하고 벨기에에게서 독립을 요구하지만 순순히 르완다를 놓을 강대국이 아니다. (어디서나 보아온 것이지만) 벨기에는 투치족의 요구를 들어주는 대신 투치족에 대항할 또 하나의 힘을 르완다 내부에 기른다. 그것이 바로 후투족이고 벨기에의 전폭적인 지지를 등에 업은 후투족은 정권의 정상에서 종족균형정책의 일환으로 투치족 대학살을 감행하게 된다.

이 얼마나 어처구니 없는 일인가? 잘 살고 있는 한 나라에 끼어든 서구열강은 언제나 그랬던 것처럼 집안의 분쟁을 일으키고 그 대학살을 지켜보면서 '우리가 뭘? 지네들끼리 싸우는데..'라고 할 뿐..이런 과정에서 싸움을 종식시킨다는 이유로 총칼을 들이밀고 또 한번 르완다로 입성할 지도 모른다. 그렇지만 이미 이런 르완다의 내전과 비슷한 상황을 여럿 보아온 우리는 결코 르완다의 내전이 진정 내전이라고는 여기지는 않는다.

여하튼 이런 모든 상황을 뒤로하고라도 작은 욕실에서 삶과 죽음의 길 90여일을 지내고 가족의 학살을 경험한 임마꿀레는 열혈 투사의 길을 걷지도 않았고 충격 속에서 삶을 방관하지도 않았다. 그녀는 결렬한 대항 대신 화해와 용서의 손길을 택했다. 그 점이 이 책에서 찾을 수 있는 가장 특별하면서도 득특한 점이었고 감동적인 부분이었다. 삶에의 방식을 여러가지가 있고 현대 사회에서 우리는 수많은 투쟁을 하는 사람들을 보아왔다. 누구나 옮지않다고 판단되는 상황에서는 이에 대한 투쟁의 목소리를 높이는게 일반적이다. 반면 화합과 용서의 길을 걷는 사람들은 드러나지 않는다 .누구나 결렬해지기 쉬운 상황에서 그녀가 택한 용서의 길에 정말 놀라지 않을 수 없다. 처음에는 종교적인 탓으로 생각하기도 했지만 그보다도 그녀가 삶을 대하는 또 하나의 포용 방식이라고 이해할 수 있었다. 만약 말로만 화합과 용서를 구한다면 웃어 넘겨버릴 수도 있지만 임마꿀레는 아프리카 고아들을 위한 자선단체인 'left to tell'을 만들고 지금도 새로운 도움이 필요한 아이들을 위해서 자신의 삶을 나누어 주고 있기 때문에 그녀의 화합과 용서를 바라는 마음에 감동하게 되는게 아닐까 싶다.  

이 책에서 찾은 감동은 르와다 내전의 참상을 고발하는 것보다는 임마꿀레 그녀의 삶에의 태도를 보면서 인류에게 진정 필요한 것은 투쟁자들만큼 포용과 용서로 세계를 화합하고 평화의 길로 이끌 수 있는 사람들의 자리라는 것이다. 임마꿀레 그녀의 삶에의 태도에 많은 것을 느끼게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