끌림 세라 워터스 빅토리아 시대 3부작
세라 워터스 지음, 최용준 옮김 / 열린책들 / 2020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세라 워터스를 아는 이는 없어도 박찬욱 감독의 영화 <아가씨>는 많은 사람들이 알고 있다. 박찬욱감독의 영화 <아가씨>의 원작 소설인 <핑거 스미스>가 바로 세라 워터스의 작품이다. 영화를 본 사람들이라면 내용의 독특함 때문에 작가의 성향이 문득 궁금해질 수도 있다. 작가 약력을 살피면 영문학 석사를 마치고 레즈비언과 게이 역사 소설에 관한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고 한다. 박사 논문을 준비하면서 구상한 데뷔작인 바로 <티핑 더 벨벳> 이후 <끌림>과 <핑거 스미스>를 내면서 <빅토리아 시대 3부작>을 완성해서 영국을 대표하는 작가 반열에 올랐다고 한다. 한국인들에게 영국의 빅토리아 시대가 어떤지는 익숙하지 않다. 단지 그 시대를 알고 있는 이들에게는 특별하겠지만 말이다. 그래서 이 소설을 읽기 전에는 먼저 빅토리아 시대상을 살짝 알고 시작하는게 어떨까 사족을 남겨 본다.

빅토리아 시대의 3부작 중 중간작품인 <끌림>은 두 여인의 관계를 나타내는 단어가 된다. 서로간의 끌림인지 아니면 일방적인 끌림인지 그에 대한 답을 소설을 덮으면서는 살짝 달라질 수도 있겠다. 소설 속의 두 주인공 마거릿 프라이어와 셀리라 도스. 한 사람은 감옥에 갇힌 죄수로 한 사람은 부유한 삶을 살고 있는 여인으로 감옥을 찾아가게 된다. 두 사람의 공통점은 없지만 두 사이의 끌림은 어디에서 시작되는 걸까?

소설은 두 사람의 일기를 통해서 이야기 된다. 거의 대부분의 일기는 마거릿의 이야기로 구성되고 그녀의 심리적인 변화에 중점을 두고 있다. 그러면서 간간히 실리는 영매 셀리나의 이야기는 그녀가 왜 감옥에 있게 되었는지 담겨 있다. 한 사람은 자신이 살고 있는 상황에 대한 불만과 갇혀있는 답답함, 그리고 자신도 몰랐던 성 정체성을 깨달아가면서 현재에서의 탈출을 꿈꾸고 다른 한 사람은 영혼을 불러오는 영매로 원치 않은 상황으로 인해 신체적 구속이 이뤄진 밀뱅크 감옥에서 벗어나길 원한다. 두 사람이 서로 원하는 부분은 다르지만 묘한 동질감과 공통점을 느끼면서 교감되는 감정이 흐른다. 처음 예상은 두 사이의 이야기가 주를 이룰 것이라고 생각했지만 그에 못지 않게 소설 전반에 마거릿이 감옥에서 만나는 사람들의 다양한 모습이 실리는게 인상적이었다. 밀뱅크 교도소에 수감된 여자죄수의 다양한 죄목, 때로는 지금 시점으로는 이해할 수 없는 차별된 죄목으로 갇힌 사람들 역시 많다. 빅토리아 시대를 대표하는 셀리나의 3부작인 이유는 다양한 시대상을 반영하는 모습에서 찾을 수 있다. 특히 여성의 입장에서 남성권위주의적인 사회에 갇혀 자신의 표현하고 싶어하는 모습이 곳곳에 보인다. 

소설을 읽으면서 그녀의 다른 소설에 대한 궁금증은 자연스럽게 생긴다. 개인적으로 소설 자체뿐 아니라 당시의 시대상에 대한 궁금증도 함께 생겨서 이에 대한 자료를 따로 찾아보게 된다. 시대에 따라 가치관이 달라지고 풍습이 달라지면서 원하는 바도 달리진다. 소설을 통해서 지금과 다른 당시의 시대상을 엿보고 또 다른 정체성을 가진 사람들의 모습을 간접 경험한다는 특별함을 선사한다. 음습한 교도소에서 자유를 갈망하던 셀리나 그녀만큼 자신을 감금하던 상류사회의 울타리에서 벗어나고 싶었던 마거릿. 두 사람은 끌림은 과연 어떤 결말을 선사할까? 예상치 못한 결말을 즐길 수 있을 것이다.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솔직하게 작성한 글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