섬 하나가 쑤욱 - 섬이 생겨난 이야기 아이즐 그림책방 10
롤라 셰이퍼 지음, 김서정 옮김, 캐시 펠스테드 그림 / 아이즐북스 / 2007년 3월
평점 :
절판


[그림 동화로 다가가는 과학 이야기]

 

과학 그림 동화가 멋드러진 그림으로 어린이들을 유혹할 수 있다면 과학 그렇게 어렵게 느껴지지 않을 것이다. 그림 동화라고 해야 할까? 과학 그림 동화라고 해야 알맞은 표현이 되겠다.

유아들에게 아름다운 그림 한 편으로 과학에 다가가기 편하도록 만든다면 이 그림 누구에게나 인기 있을 것이다. 책 표지를 보면 바닷가에 우뚝 솟은 섬 하나가 보인다. 마치 종이를 오려붙이고 채색한 듯한 그림이 단순하면서도 묘한 매력을 갖고 있다. 6살된 아들에게 책을 읽어주면서 생소한 그림과 스토리 없는 이야기가 과연 흥미롭게 다가갈까 갸우뚱했지만 결과는 흡인력이 있다는 것이다.

바닷속의 깊은 땅 속에서 어느날 예고도 없이 부글부글 거리면서 마그마가 솟아 오르고 용암이 흐르더니 바다 한가운데 떡 하니 나타난 섬. 그 섬이 아이들 마음에도 자리를 잡고 말았다. 뾰족뾰족한 바위 덩이같던 섬이 세파에 깍여 둥글어지고 멀리서 풀씨가 날아와 싹이 트고 이윽고 새들이 날아들고..이렇게 조금씩 식구가 늘어서 어느새 지도에도 자리잡고 사람들이 찾아와서 정착하게 되는 섬. 섬의 탄생부터 지금까지의 이야기를 그림 속에서 보여주고 있는데 아이는 그렇게 하나씩 늘어간다는 것에 흥미를 느낀다. 마지막에 저 깊은 바다속에서 화산이 쾅쾅, 용암이 부글부글 한다는 말에 빙그레 웃으면서 " 또 생기는 거야?"라고 묻는 걸 보면 말이다.

과학그림동화답지 않게 그림과 색이 무척 아름답다. 바다를 표현하는 색상과 종이를 오려 붙인 듯한 꽃과 새는 누구의 말처럼 옷을 해입고 싶은 아름다운 그림이다. 아이에게는 아름다운 그림과 더불어 바다 속에서 부글거리면서 탄생하게 될 신비한 섬에 대한 기억을 심어주게 된다.

마지막으로 부모 가이드에서 화산섬이 생기는 과정을 소개한 자료는 책읽은 후에 아이에게 조금이나마 화산섬이 생기는 구체적인 이유와 과정을 설명해 줄 수 있는 고마운 자료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