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백범, 거대한 슬픔 ㅣ 김별아 근대 3부작
김별아 지음 / 해냄 / 2019년 8월
평점 :

올해는 대한민국임시정부수립 100주년이 되는 해이다. 1919년에서 2019년 100년의 세월동안 대한민국에서 수많은 일이 있었다. 100주년이 되는 해를 기념해서 연초부터 다양한 전시회와 행사가 진행되고 있다. 국립중앙박물관이나 예술의 전당 등에서 행해지는 다양한 전시를 보면 독립운동에 참여했던 사람과 임시정부에 대한 기록과 전시를 볼 기회가 많았다. 지금도 찾아보면 이런 기획전시가 있지 않을까 싶다.

대한민국정부의 시작을 언제로 볼 것인가에 대해서 다른 입장을 취하는 이들이 아직까지도 논쟁을 하고 있다. 그런 논쟁을 떠나서 대한민국임시정부의 가치를 부정할 수는 없을 것이다. 3.1운동을 계기로 모든 대외적인 항일운동의 구심점이 되고자 했던 대한민국임시정부는 수립과 더불어 험란한 여정을 겪게 된다. 그곳의 중심에는 백범 김구가 자리하고 있다. 항일운동사에서 빼놓을 수 없는 인물 백범 김구, 그를 알 수 있는 작품으로는 백범일지를 생각하게 된다. 읽은 이도 있고 그렇지 않은 이도 있겠지만 개인적으로는 영화나 소설로 인간 김구를 만나고 싶다는 생각을 했다. 작년에 김구를 다룬 영화 한 편이 개봉했었고 올해는 김별아의 소설로 백범 김구를 만나게 되었다.

[미실]이라는 작품으로 잘 알려진 김별아 작가의 <백범, 거대한 슬픔>은 2008년에 출간된 작품이라고 한다.다른 출판사에서 백범이라는 제목으로 출간된 책이 이번에 해냄에서 새로 나온 것이다. 저자의 소설의 많이 접하지 않은 탓에 모르고 있었다.
작품을 읽으면서 가장 크게 오는 부분은 강하고 거대한 이미지를 가지고 있던 백범 김구의 모습에서 인간적인 고뇌와 슬픔을 느낄 수 있다는 점이다. 작가는 제목에서도 <백범, 거대한 슬픔>이라고 하면서 김구의 인간적인 고뇌와 슬픔을 그리고자 했다. 전지적 작가 시점이나 3인칭 시점이 아닌 1인칭 주인공 시점으로 개인적인 자신의 이야기를 하는 소설이다. 26년간 떠돌면서 독립운동을 하던 그가 주위의 사랑하는 사람을 잃은 슬픔, 그리고 허망하게 독립이 되면서 미군수송기를 타고 오면서 느끼는 감정, 무엇보다 나라를 잃은 민초들에 대한 슬픔이 강하게 드러나는 것 같았다.

김구 자신의 젊은날과 성장에 대한 단편적인 이야기, 그리고 억척스럽게 살았던 강한 어머니와 아내와 자식의 이야기까지 만날 수 있다. 소설을 읽다 보면 그의 고뇌와 슬픔을 가슴에 느끼면서 사회적인 강한 이미지에서 벗어나 인간적인 면모까지 느낄 수 있었다. 집에서 멀지 않은 곳에 성동구 금호동 금남시장에는 김구가 마련해서 교육의 장을 펼쳤던 백범학원터가 남아있는데 그곳의 기념비도 다시 한번 챙겨봐야겠구나 생각했다. 그리고 그의 마지막을 담은 경교장과 묘소가 있는 백범기념관도 찾아보려 한다.

자주적인 해방이 아님에 기쁜 마음으로 사진을 찍을 수 없었던 그들의 모습이 생각나는 요즘이다. 친일 청산이 제대로 되지 않은 역사 속에서 작금의 일본과의 관계를 보면서 우리는 많은 생각을 하게 된다. 그 즈음 백범 김구의 소설을 접하면서 역사와 국가의 의미를 다시금 생각해 보게 되는 소설이었다.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솔직하게 작성한 글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