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에베레스트에서 온 편지 ㅣ 즐거운 동화 여행 5
박신식 지음, 정유광 그림 / 가문비(어린이가문비) / 2007년 4월
평점 :
절판
부모님의 마음을 볼 수 있다면 당신들의 속은 어떤 색깔일까?
너나 없이 모두 새까맣다고 이야기 할 것이다. 어머니의 자식 사랑하는 마음이야 수 많은 일화에서 다루어 지지만 아버지의 사랑에 대해서는 조금 낯설다. 지금은 많이 달라졌다고 하지만 아버지에 대한 느낌을 여전히 어머니보다는 권위적이기 때문일까?
다른 무엇보다도 등산을 좋아하는 태산이의 아버지. 그런 아버지를 보고 있노라면 태산이는 자신보다 산을 더 좋아하는 아버지의 모습에 항상 불만이다. 산악인들에게 산은 거기 있기때문에 오른다고 하던가? 태산이의 아버지에게도 산은 그 자체로 오르게 되는 의미였을 것이다. 아버지와 마음도 제대로 나누지 못한채 결국 일은 벌어지고 만다. 태산이의 아버지가 그토록 원하던 최고의 산인 에베레스트 등반을 가게 된 것이다. 태산이의 아버지는 결국 이 산에서 실종하게 되고 아버지의 유품 속에서 태산이는 부치지 못한 아버지의 마지막 편지를 발견하고 오열한다. 그 편지에는 그동안 말로는 표현하지 못했던 아들과 아내에 대한 사랑이 고스란히 담겨있었기 때문이다. 유달리 표현에 익숙하지 못한 우리 아버지들..태산이의 아버지는 그렇게 자신의마음을 마지막 편지에 담았던 것이다. 태산이는 그런 아버지의 편지를 들고 부치지 못한 마음을 편지를 쓰게 된다...
부모라는 이름으로 자식을 위해서 얼마나 많은 것을 희생하고 사는지 그건 부모가 되고 나서야 알게 되는 것 같다. 어려서는 마냥 받는 것에 익숙했는데 가정을 꾸리고 한 해 두 해 나이가 들면서 내 부모님의 속마음을 나도 고스란히 밟으면서 이해하게 된다. 부모이기 때문에 자식에게 먼저 해주는게 아니라 부모님도 당신이 원하는 삶을 누리면서 살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을 알아야 하는데...무조건적이 희생보다는 부모의 인생도 있다는 것을 늘 말해주는 것이 필요하지 않나 생각한다.
책을 읽으면서 자신의 꿈을 가지고 있던 태산이의 아버지와 그런 꿈을 인정하지 못했던 태산이의 모습을 보면서 부모의 삶과 자식의 삶을 생각해보게 된다. 그리고 그동안 아무말 없이 자식을 위해 헌신하던 우리네 부모님을 뒤돌아보게 된다. 오늘 그분들에게 마음을 담아 더 늦기 전에 편지라고 한 장 써야할 것 같다. 진심과 사랑은 표현하는 만큼 더 늘어나게 되니 더이상 미루지 말아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