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아기가 된 할아버지 ㅣ 책읽는 가족 52
문영숙 지음, 이영림 그림 / 푸른책들 / 2007년 2월
평점 :
실로 오랜만에 책을 보면서 실컷 울었던 것 같다. 작가의 경험담에서 나온 살아있는 이야기는 실은 우리 주변에서 누구에게나 일어날 수 있는 나의 이야기였기 때문일까?
가족 중에 치매환자가 있다는 것은 그 가족 모두에게 더 할 수 없는 고통이 된다는 말은 수도 없이 들었다.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그 말이 남의 말 같지 않게 느껴지는 것은 나의 부모님에 대한 걱정은 물론이고 나 또한 그런 대상이 되지 말라는 법이 없으니 더 내 일같이 느껴진다.
책을 읽으면서 치매 시아버지를 극진하게 모시는 찬우 엄마 같은 사람이 이 시대에 얼마나 존재할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너무도 급하게 돌아가는 사회에서 아픈 시어른을 모시고 극진하게 보살필 수 있는 사람은 그리 많지 않다. 조금의 여유라도 있다면 모두 요양원으로 모시지 집에서 치매환자를 보살 피기 힘들다고 한다. 가족들도 몰라주는 힘든 마음에 찬우 엄마는 가출을 하기도 하지만 요양원으로 모신 시아버지를 다시 모시고 돌아오는 그런 사람이다. 그 모습을 보면서 수 많은 인연 속에서 결혼을 통해서 맺어진 가족이라는 인연의 끈을 무던히 쥐어 잡고 시아버지를 모시는 찬우 엄마의 모습에 고개를 숙이게 된다.
사실 이 책을 보면서는 치매로 인해서 힘들어 하는 가족의 모습과 할아버지의 모습을 보면서 자꾸 현실 속에서의 내 모습을 투영시켜 보게 된다. 나라면 할 수 있을까? 내 부모님, 시부모님이 이런 상황이라면 나는 어떻게 할까? 혹은 내가 원치않는 병에 걸린다면 내 아이들은 어떨까? 수도 없이 가정을 하면서 책을 읽어가게 되었다. 그렇게 수 많은 생각과 눈물을 흘리면서 마지막 책장을 덮고 작가가 가장 하고 싶어했던 말은 무엇이었을까 생각해 본다. 결국 그것은 가족애가 아닐까? 모든 것을 견디고 헤쳐나갈 수 있는 것은 가족이라는 이름때문이 아닐까 생각된다. 가끔 "엄마~"라고 부르면서 뛰어오는 아이를 보고 "아~엄마, 그래 나는 엄마였지"라는 자각을 하듯 책을 통해서 가족이라는 단어가 아닌 내 곁에 살아 숨쉬는 "가족"을 떠올려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