흙 속의 작은 우주 - 어린이를 위한 토양동물 이야기
앨빈 실버스타인.버지니아 실버스타인 지음, 김수영 옮김, 김태형 그림 / 사계절 / 2007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모든 것은 흙으로 돌아간다..작은 우주 이야기]

 

생명이 있는 모든 것은  흙에서 나고 결국 흙으로 돌아간다. 모든 것의 근원인 흙의 세계를 우리 인간을 얼마나 무시하고 사는가? 발아래 흙 속에는 인간의 눈에 보이지 않는 1mm의 세계가 존재하고 있다는 것을 인지한 것은 작년인가 보다. 아이와 우연히 보았던 다큐멘타리에서 흙속의 놀라운 세계를 만나고 얼마나 반갑고 놀라웠던지 모른다. 난 그 신비로운 흙속의 세계를 또 한권의 책 속에서 찾을 수 있어서 다시금 기쁨을 느꼈다.

 

어린이를 위한 토양동물이야기로 출시된 이 책은 제목에서처럼 흙 속의 생명체들이 담고 있는 작은 우주를 보여주고 있다. 다 안다고 결코 말할 수 없는 흙 속 생명체들의 세상을 함께 돌아본다는 것은 정말 짜릿한 경험이 아닐 수 없다.

책에는 모두 10가지의 흙 속 생물이 소개된다. 소제목에서 소개되는 생물 앞에 붙이는 수식어가 그 생물의 결정적인 특징을 잘 드러내 주고 있다. 우리가 잘 알고 있다고 생각하던 지렁이나 달팽이에 대한 설명만 해도 그 이상의 많은 것을 담고 있어서 읽는 내내 내가 모르던 세계가 얼마나 많은지 다시 한번 고개를 숙이게 되었다.

흙 세계의 건축가로 불리는 지렁이는 지금 아이와 집에서 키우고 있는 중이다. 지렁이 분변토를 관찰하고 그것을 식물에게 주기위해서 수분을 주고 먹이를 주면서 키운다. 작은 화분의 흙속에 지렁이가 얼마나 들었는지 모르지만 책을 보니 적어도 200마리 이상은 되겠구나 짐작이 간다.

지렁이는 150개 정도의 체절이 있는데 일부가 잘려나가도 자랄 수 있다고 한다. 암수 한몸인 지렁이가 수정을 하는 과정은 다른 지렁이를 만났을 때 가능하다는 것은 알고 있었다. 그 과정은책 속에서 상세하게 배울 수 있었다. 다른 지렁이를 만나서 받은 정자를 환대에 보관했다가 1주일 뒤 알을 낳는다. 이 때 환대 표면에서 원통형의 막이 생겨서 이 막이 내려가면사 정자를 받고 알을 받아서 떨어뜨리게 된다. 그러면 그 막안에서 어미와 똑같은 새끼지렁이가 막을 뚫고 나오게 되는 것이다.

다윈은 이 지렁이로 재미난 실험을 했다. 피아노 저음과 고음에 대한 지렁이의 반응. 당연히 지렁이는 저음에 반응하면서 흙속으로 숨어들어 갔는데 이는 지렁이가 진동에 민감하게 반응함을 의미한다고 한다.

이렇게 실험과 관찰을 통해서 알게된 흙 속 생물들의 이야기를 재미나게 만나면서 결국은 인간과 땅의 관계로 결론이 모아진다. 모든 것이 살아 숨쉬는 땅을 무시하고 인간이 건강하게 오래 살 수는 없다. 토양을 황폐와 시키면 시킬 수록 그 안에 살고 있는 생물들은 물론이고 먹이연쇄에 의해서 우리 인간도 결국 병들어 갈 수 밖에 없음을 인지하지 않을 수 없다. 예전에는 먹을 것을 많이 생산하기 위해서 무분별하게 화공약품을 썼다면 이제는 병들어 있는 토양을 살리기 위해 가장 친환경적인 방법으로 토양에서 먹거리를 얻고 인간만이 제공하는 쓰레기 더미를 줄이는 방법을 진지하게 생각해야 할 것이다.

흙속의 작은 우주를 만나면서 단순한 정보 이외에 인간이 지녀야 할 겸손함과 토양을 지키고 살려야할 의무감도 함께 배우게 되는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