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적인 교육학자 박옥춘 박사의 미래형 자녀교육법
박옥춘 지음 / 예담Friend / 2006년 12월
평점 :
절판


자녀교육서를 열심히 읽으면서 자신에게 맞는 혹은 참고해야 할 자녀교육법을 터득해 가는 사람들이 있는가 하면

자녀교육서를 의도적으로 피해하는 사람들이 있다. 난 아무래도 후자인 것 같다.

가장 경계했던 부분은 도식화 되는 아이 잘 키우기 방법에 따라가지나 않을까 하는 염려가 절반이고

절반은 아무리 좋은 방법이 제시된다고 해도 가장 중요한 것은 바로 부모마음, 아이마음이기 때문이다 .

그 개별성을 최대한 인정하고 마음이 가는대로 아이와 내 관계를 최대한 자연스럽게 유지하고자 하는 바램이 반이었다.

 

[미래형 자녀교육법]이라는 진취적인 제목과 세계적인 교육학자의 집필이라는 문구가 마음에 끌리는 것은 나도 어쩔 수 없다.

조금은 다른 눈으로 자녀 키우는 방법을 제시해주는 내용일까?

적어도 관념적이고 추상적이지는 않겠지 하는 생각을 하면서..

 

가장 먼저 만나는 것은 역시..부모 유형 테스트!!

사실 전에는 이런 테스트를 보면 두근 거리면서 테스트를 한 후에 '그래, 역시 난 ..형인 부모로군!'하면서 끝내기 일수였다.

그런데 이제는 조금 다른 시각으로 부모 테스트를 바라보게 되었다.

 대부분 방임형과 권위형, 잔소리형, 민주형의 부모 모델이 제시되는데 내가 어떤 형인지 알고 끝나는 것이 아니라

가장 바람직하다고 여기는 민주형의 부모모델을 찬찬히 분석하게 되었다.

이 사람은 나와 어떤 차이가 있나?

나라면 분명 이랬을 텐데..

이런 식으로 하는 것이 민주적인 행동이구나...하면서 말이다.

 

사실 민주적인 부모형과 방임형을 혼동하는 경우가 많다.

아주 미묘한 차이에 아이를 방임할 수도 스스로 하도록 도와줄 수도 있는 것이다.

이 책을 읽으면서는 우선 책을 읽는 나의 태도부터 사뭇 달리하면서 보았다.

다른 책과의 커다란 차이를 찾기 보다는 "그래~ 그렇지, 누가 모르나.."라는 푸념대신

나와의 차이점, 민주적인 성향을 받아들이려고 노력했다.

 

저자는 많은 사례들을 보여주면서 부모의 욕심이나 강요,

아이가 스스로 우러나는 자발적인 동기 부여가 되지 않으면 많이 힘들어 한다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

많은 사례에서 한국 부모의 사례가 올바르지 못한 경우로  나와서 이것이 전부는 아닌데..하는 생각이 들면서도

많은 사람들이 안고 있는 오류임은 인정하지 않을 수 없었다.

저자의 모든 주장에 공감하는 것은 아니지만

미래형 자녀 교육법은 바로 자발적인 동기부여라는 측면은 100%공감한다.

그러기 위해서 부모가 취해야 할 입장에서 부모 중심의 가치관을 버리고 욕심을 버려야 한다는 것이다.

자녀를 위하는 것이 헌신과 봉사만을 의미하는 것은 이미 오래 전이다.

지금은 열심히 살고 자녀에게 올바른 인간형을 보여주는 것만으로 훌륭한 자녀교육을 하는 것이고

 또한 대화를 할 수 있는 열린 마음을 갖는 것이 무엇보다 필요하다.

자신을 바라보면서 동시에 자녀를 함께 볼 수 있는 자세.

나와 자녀를 동일시 하고 자신에게 예속된 존재로 보는 것이 아니라 독립적인 개체로 인정하는 것.

그것이 자녀 스스로 삶을 의욕적으로 행복하게 살게 하는 전제조건이자 필수조건이라는 것을 다시 한번 되새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