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흔에게 (반양장) - 기시미 이치로의 다시 살아갈 용기에 대하여
기시미 이치로 지음, 전경아 옮김 / 다산초당(다산북스) / 2018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기시미 이치로의 다시 살아갈 용기에 대하여>

 

 

살면서 마흔이라는 나이는  인생의 전환점이 되는 듯하다. 살면서 아홉수마다 사람들은 알게 모르게 몸살을 앓는다. 몸이든 마음이든, 그런데 유독 39에는 변화에 대한 민감함이 컸던거 같다. 마흔 정도면 이렇게 살고 있어야 하지 않을까 라는 성취에 대한 부담감과 기대감, 그리고 이제는 정말 사회에서 중년층이 되어 기성세대로 가는 묘한 느낌, 그리고 커가는 아이들에 대한 버거움 등등. 그렇게 마흔이라는 나이를 받아들이면서 인생에서 변화되는 많은 것들이 있다.

아이들이 커가면서 동시에 나의 부모는 더 많이 나이들어 간다. 나에게도 알 수 없는 몸의 변화가 따라와서 똑같은 것을 해도 아파지고 쉽게 낫지도 않는 경우도 생긴다. 나이듦에 대한 두려움, 그리고 커가는 아이들과 달리 점점 나이들어가는 나의 부모님.  얼마전에 재발한 암 때문에 다시 항암치료를 시작한 아버지를 보면서 힘든 시기를 지내고 있다. 이때 기시미 이치로의 <마흔에게>를 읽으면서 알게 모르게 마음의 위로를 받았다.

 

한동안 성공에 대한 자기개발서가 유행을 하고 우리사회에서는 성공과 1등을 부르짖었다. 그런데 지금은 자존감에 대한 책이 나오고 삶의 위로가 되는 책들이 나온다. 그만큼 사회에서 자신의 삶에 대해서 위로를 받고 살아갈 마음의 위안이 필요하다는 말일 수도 있다. "당신 지금껏 잘 살고 있다"라고 말이다.

저자는 나이듦을 부정적으로 받아들이는 이유를 노화나 약화를 부정적으로 보는 시각, 그리고 인생의 목표를 성공으로 보는 시각때문이라고 보았다. 행복하기 위해서 성취해야 한다는 생각 대신, 지금 이 순간을 행복으로 여기라는 말을 하고 있다. 젊을 때와 달리 여러가지 일을 할 수 없는 때에 현실을 어떻게 바라봐야 하는가 정말 중요하다는 것을 느꼈다. 이제껏 달려오기만 한 많은 사람들에게 나 자신을 생각하고 과거나 너무 먼 미래가 아닌 지금 현재 나를 위해 살아가라고 한다. 지친 중년에게 건네는 삶의 위로, 그래서 난 고맙게 이 책을 읽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