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권으로 보는 그림 한국사 백과 한 권으로 보는 그림 백과
지호진 지음, 이혁 그림 / 진선아이 / 2006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중국이 고구려, 발해사를 중국의 역사로 흡수하기 위한 동북공정이 언제부터 시작되었는가? 동북공정이라는 말이 자주 등장한 작년부터라고 생각하는 사람은 아마 없을 것이다. 이미 중국에 의해서 한국역사 좀먹기가 시작되었음에 우리의 대처가 늦어졌음을 시인할 수 밖에 없었다. 그러면서  우리 아이들에게 학교 공부가 아닌 진정한 우리 역사 바로알기에 대한 인식의 필요성이 절실히 느껴졌다.
 이 책은  초등 저학년부터 손쉽게 볼 수 있는 구성이 돋보이는 책이다. 단편적인 이야기 중심의 책이 아니라 역사의 전반적인 흐름을 파악하고 시대별로 각각의 주제를 비교해 볼 만하다.
그림 한국사 백과라는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이 사진자료 대신 모든 것이 필자의 그림으로 그려져 있다. 그림으로 그려진 그 구성이 아이들에게는 만화를 대하는 듯한 쉬운 느낌으로 역사책을 대할 수 있게 하는 것 같다.
모든 것이 그림으로 그려졌다는 점과 함께 돋보이는 또하나의 특징은 시대별로 주제를 분명히 나누어서 설명하는 방식이다.  각 시대에서 왕, 영토와 도읍지, 옷, 음식, 정치 ,사회 경제 ,유물 등..이런 분명한 구분 때문에 필요한 부분을 찾기 쉽고 시대별로도 비교하기 용이하다. 아이들이 주제를 정해서 시대별로 정리를 하고 그림을 따라 그리면서 스스로 내용을 정리하고 소책자를 만들어 보는 활동을 하면 좋을 것 같다.
움집이나 고인돌이 만들어 지는 과정이나 선사시대의 긁개, 주먹도끼,찍개의 사용과 차이, 세계 걸작품으로 인정받는 백제 금동대향로의 각부분에 새겨진 그림에 대한 자세한 설명, 전통 한옥의 구조 등에 대한 설명까지 다양한 정보가 실려있다. 다소 내용이 어려운 부분은 그림과 도표를 충분히 사용하여 설명하고 지도 자료는 되도록 최대한 간소화 하여 눈에 쏙 들어오도록 되어있다. 중간마다 나오는 만화를 통해서 건국설화나 유물이야기 등을 소개하는 것도 아이들의 눈높이를 고려한 구성이다.
책 뒤에 부록으로 나온 연표를 통해서는 책에서 다룬 주요 내용을 주제가 아닌 시대별로 정리할 수 있다. 책에서 다루어진 유적이나 유물을 그림으로만 보아 아쉽다고 여겨지면 책 뒤에 소개된 [문화유산일기]를 통해서 그림이 아닌 사진자료로 문화유산을 만나면 좋겠다.
그림으로 먼저 보고 세세한 설명도 충분히 읽을 수 있는 장점을 갖춘 책으로 처음 역사 공부를 시작하거나 역사공부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아이들을 위해서 책장에서 오랫동안 꺼내서 보게 될 알토랑 같은 책이라고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