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유산일기
안장헌 지음 / 진선북스(진선출판사) / 2003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직 학년이 어린 아이를 데리고 작년 여름에는 이곳저곳 많이 다녔다. 처음으로 경주에도 가보고 종묘와 창경궁에도 가고 ...해설가들의 이야기를 들으면서 어느 하나 놓칠 수 없다 싶어서 연신 사진을 찍고 정신없이 받아적고는 돌아서면 왜그렇게 기억이 다 가물가물한지..

특히 궁의 각곳을 찍었던 것은 어느게 어느 것인지 몰라서 한참을 들여다보고는 했다.

한국사에 대한 공부를 하면서 우리 문화 유산에 대한 책도 꼭 필요하다는 생각을 하던 차에 접하게 된 [문화유산일기]는 여름 내 돌아다니면서 찍었던 사진을 정말 무색케 하는 알찬 사진자료로 가득하다.

 

이 책의 가장 큰 특징은 최소한의 설명으로 사진을 통해 유산의 아름다움을 최대한 느끼게 한다는 점이다. 충분한 감상을 즐기게 하고 책의 부록으로 마련된 용어풀이를 통해서 모르는 것에 대한 궁금증을 풀 수가 있다.

 

목차를 살피면 한국의 세계 문화유산, 목조 건축 문화유산, 석조 건축, 불교, 공예, 회화, 능묘의 석물, 조선 시대 궁궐, 그 외의 문화유산을 소개하고 있다.

그동안 답사를 했더라도 그 아름다움을 모른채 그냥 스쳐 지나쳤던 문화유산이 적지 않다.  목조 건축 문화유산에서 소개된 기단과 월대, 공포는 서울 안에서 궁을 돌아다니면서  보았던 것이나 그 아름다움과 차이를 몰랐는데 사진을 통해서 서로 비교하면서 살필 수 있어서 더 없이 도움이 되었다.  이외에도 왕릉에서 볼 수 있는 석조상들의 다양한 모습이나 조선시대 궁궐의 곳곳의 모습, 그리고 고분벽화와 암각화의 섬세함과 기상까지 살펴볼 수 있는 좋은 기회를 얻을 수 있다.

책의 뒤에 나온 용어 풀이는 문화유산에서 모르던 용어가 자세히 소개된다. 또한 종, 탑, 부도, 도자기, 석등은 사진과 더불어 각 구조와 이름에 대한 설명이 있고  맞배지붕, 우진각지붕, 팔작지붕을 비교한 지붕에 대한 설명 또한 알찬 정보가 된다. 이런 알찬 용어 풀이 뒤에 실린 우리나라 국보에 대한 소개표 또한 모르고 넘어가기에 아까운 정보란이 된다.

 

아이와 역사공부를 한창하고 있다면 역사의 흐름만을 꾈 것이 아니라 우리 가까이에 있는 문화유산을 살피고 알아 볼 수 있는 눈도 함께 길러 줄 필요가 있지 않을까? 그런 의미에서 역사를 소중히 알고 배워가는 아이들과 부모들이 [문화유산일기]를  통해서 다양한 문화유산을 만나고 우리나라의 국보가 무엇인지고 살펴볼 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않았으면 하는 바램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