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워풀 - 넷플릭스 성장의 비결
패티 맥코드 지음, 허란.추가영 옮김 / 한국경제신문 / 2018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넷플릭스 성장의 비결,자유와 책임의 문화 가이드>

 

넷플릭스 성장의 비결 제목만 보고도 궁금해지는 사람이 많을 듯하다. 스마트폰을 하는 사람들이라면 이제 번거롭게 DVD를 구입해서 영화를 보는 일을 하는 사람은 없다. DVD로 영화를 보는 일이 먼 이야기처럼 느껴지듯이 스마트폰을 이용해서 영화를 보는게 일반화 되었다. 봉준호 감독의 <옥자>라는 영화가 이슈가 된 것은 넷플릭스 시스템을 통한 영화제작과 보급이라는 점 때문이다. 극장을 통해 개봉하면서 동시에 스마트폰으로 볼 수 있는 넷플릭스를 통한 개봉이 동시에 이뤄진다는 그러니 당연히 영화배급사측에서는 그리 달갑지 않은 시스템, 반면 영화를 즐기는 많은 사람들에게는 저렴하고 손쉽게 볼 수 있는 이 시스템에 환호를 보내고 있다.

 

세상이 변화하는 속도가 어마어마하고 우리가 알고 있는 기업의 시스템 또한 급변하고 있다. 그럴싸한 건물을 구비하고 아침부터 저녁까지 책상머리에 앉아서 일하는 시스템에서 벗어나고 있다. 실리콘벨리에서 가장 각광받고 있는 중의 하나인 넷플릭스,구글에 버금가는 곳으로 꼽히는 이곳의 성장과 비결에 대한 책 <파워풀>은 넷플릭스에서 강조하는 자유와 책임의 문화 가이드를 소개한다.

 

저자 패티 맥코드는 넷플릭스의 최고인재책임자로 14년간 일했다고 한다. 그렇기 때문일까 맥코드가 책에서 소개하는 점에서 가장 중요하게 대두되는 것이 바로 최고의 인재를 어떻게 기용하고 그들이 최대한의 재능을 발휘하도록 하는가에 있다.

넷플릭스 역시 처음에는 시행착오가 있었겠지만 지금 그들이 추구하는 가장 중요한 것은 목차를 통해서 충분히 알 수 있다. 권위적인 위계질설를 거부하고 솔직하게 쌍방이 소통하는 방법. 익명의 설문지를 통해서 불만을 말하는 대신 얼굴을 마주보고 솔직하게 이야기 하는 것의 중요성을 제대로 안 것이다.

그래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한 것이 바로 격렬한 토론의 장. 토론을 할 때의 주의점 역시 있다. 효율적인 토론을 위해서 오직 비즈니스와 고객을 위해서만 토론한다는 점이다. 테이터가 필요하기는 하나 테이터가 정말로 무엇을 말하는지 충분히 조사하지 않고 겉도는 토론은 시간낭비일 수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또 한가지 인상적이었던 것이 있다. 리더와 직원간의 솔직한 토크이다. 리더 입장에서 아랫사람을 대할 때 능력이 부족하거나 이해가 부족하다는 생각에 제대로 비즈니스에 대해서 알리지 않는 오류가 가장 크다고 한다. 그들이 이해하지 못하는게 아니라 본인이 제대로 설명하지 못하는 것일 수도 있다. 즉 제대로 된 기업에서는 사업에 대해서 상하가 모두 제대로 알고 있어야 하지 리더만 알고 직원은 시키는 대로 하는게 아니라는 점이다. 넷플릭스의 성장은 바로 인식의 변화에서 비롯된 듯하다.

최적의 장소에 최고의 인재를 등용해서 가장 효과적인 재능을 발휘하도록 하는 것, 그것은 리더의 변화에서 시작될 수 있다. 단순히 직원들에게 애사심이나. 성과급만 제시하는게 아니라 그들이 공감하고 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장을 마련하라는 것이다. 넷플릭스의 시스템을 보면 우리 기업도 좀더 발빠르게 기업 문화에 변화를 도모해야 글로벌사회에서 발맞춰가지 않을까 한다.

 

책의 구성 역시 마음에 든다. 시간을 내서 쪼개 읽는 바쁜 이들도 어렵지 않도록 단원이 끝나면 핵심정리와 더불어 리더에게 필요한 질문이 있다. 당신이 평직원이든 임직원이든 분명 이 책은 도움이 될 거라고 생각된다.

 

 

*출판사에서 도서를 제공받아 솔직하게 작성한 글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