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중근과 데이트하러 떠난 길 위에서
김연정 지음 / 매직하우스 / 2018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21세기 대한민국과 20세기 조선을 넘나드는 이야기>

 

 

 

지난 겨울에 우연한 기회에 한국사를 정리하고 싶은 마음에 시험공부를 시작했다. 그동안 띄엄띄엄 알고 있던 부분을 좀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확인하는 작업을 하고 싶어서 시작한 공부, 그 덕분에 강의도 듣고 시험에서 좋은 결과도 얻었지만 무엇보다 의미있었던 것은 한국사에서 몰랐던 근대사 부분에 대한 정리였다.

 

 

 

40이 훌쩍 넘은 세대라면 인정할 것이다. 학교에서 배웠던 역사는 대부분 고대사, 그리고 조선시대에 한정되었다는 것을 .시험범위에서도 항상 애매하게 걸리는 근현대사는 배우는 둥 마는 둥 하면서 넘어가고 특히 독립운동사에 대한 거론은 거의 들어본 적이 없다. 오히려 성인이 되고 아이들을 키우면서 책을 보고 다시 배우게 되는 한국사. 시험에 급급해서 국정교과서로 배웠던 한국사에서 아쉬운 부분이 많았다는 것도 알게 되었다.지금은 한국사와 관련된 많은 저서가 나와서 교과서 외에도 볼만한 자료가 너무너무 넘쳐난다. 아이들이 쉽게 볼 수 있는 책도 많아서 요즘 아이들은 복받았다는 말이 절로 난다.

 

 

 

그럼에도 아직까지 책을 보면 볼수록 모르고 새로 배우는 부분이 참 많다. <안중근과 데이트하러 떠난 길 위에서>라는 책은 제목에서 호기심이 느껴졌다. 개인적으로는 안중근과 데이트를 연관짓기 힘들었다. 안중근의 독립운동과 연관한 곳을 찾아 떠나면서 데이트한다고 표현하는게 재미있기도 하고 혹은 무게감이 안맞는 듯도 하면서 호기심이 일었다.

 

 

 

우선 책에 대한 총평은 저자의 해박한 지식에 감탄했다. 역사가 뿐 아니라 역사 소설을 쓰는 작가들도 수많은 자료 수집과 공부를 통해서 정말 해박한 지식을 소유한 사람들이 많다. 저자 김연정의 소설은 처음 읽었는제 그동안의 작품을 보니 모두 한국사와 관련된 저서들이 많다. 그동안 얼마나 역사 관련 수집과 공부를 많이 했을까 충분히 알 수 있었다.

 

 

 

안중근을 이야기 하기 위해서 중국과 일본사도 건드려주고 한국의 근대사 부분을 해박한 지식으로 풀어내고 있다. 공부를 하면서 알게 된 부분이 저자의 서술을 통해서 일목요연하게 정리된 느낌을 받았다. 그리고 그러한 이야기를 끌어내기 위해서 저자가 살고 있는 지금의 대한민국과 20세기 초 열강의 대립 속에 놓여진 조선의 운명이 묘하게 오버랩 되는 부분이 많았다. 역사를 공부하는 이유가 현실과 미래를 위해서가 아닌가. 그런 면에서 지금과 과거의 연결 고리가 의미있다고 보겠다.

 

 

 

안중근이 인재양성에 힘쓰고 독립운동을 하며 이토 히로부미를 저격했다는 사실은 초등학교 아이들도 다 알고 있다. 또한 어느 대통령처럼 하얼빈이 아닌 뤼순 감옥에서 순국했다는 사실도 국민의 대부분이 다 알고 있다. 저자는 안중근이 독립운동을 했던 그 순간을 찾아 떠나면서 근현대사와 현대를 총망라하는 자신만의 시선으로 소설을 써내려간다. 소설인 듯하면서 아닌 듯할 정도로 해박한 지식을 현재의 시점을 말하기 때문인 듯도 하다. 형식적인 면을 떠나서 역사에 관심있는 사람들이라면 읽어보길 추천한다. 단지 아쉬움이 있다면 편집에서 오류가 많다는 점이다. 아무래도 사건과 여대를 기술하고 역사적 인물의 실명을 많이 거론하고 있는데 이런 부분에서 오류는 편집자들의 불찰이 아닌가 싶다 . 예로 p130의 을사늑약의 연대로 1906년 11월17일로 되어있었다. 재판할 경우는 이런 오류를 충분히 잡아주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