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하의 소녀시대 지식여행자 1
요네하라 마리 지음, 이현진 옮김 / 마음산책 / 2006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소설같은 일상이 소설의 소재가 되기도 하지만 일상 그 자체가 소설을 버금할 만큼 많은 복잡하고 흥미로운 구도를 잡고 있을 때가 있다. 일상을 어떻게 풀이하는가가 관건이 되겠지만 말이다.
요네하라 마리의 <프라하의 소녀시대>는 마리가 1960년에 아버지를 따라 체코의 수도 프라하로 건너가 살았던 몇 년간의 이야기를 중심으로 하고 있다. 10대 소녀였던 마리가 그곳에서 만났던 서로  그리스인 리차, 루마니아인 아냐, 유고슬라비아인 야스나의 이야기를 각 단락에서 다룬다.

그녀들이 함께 했던 당시의 상황은 지금과는 확연히 다른 사회적 혼란이 극대화된 상황이었는지도 모른다. 리차는 군사정권의 탄압을 피해서 체코로 망명한 공산주의자의 딸이었고 아냐는 평등을 주장하고는 있지만 결국 권력에 의한 차별을 몸소 보여주고 있는 공산권력층의 한 단면을 보여주는 집안의 딸이고 야스나는 독일에 협력하던 권력을 상대로 항쟁하던 집안의 딸이었다. 그리고 마리는 아버지를 따라 일본공산당원의 대표로 프라하에 머물고 있었던 것이다.

우리에게는 너무나 낯선 시대적 조류 속에서 살았던 프라하의 소녀들..그러나 사실 그들에게서 만난 것은 사상의 갈등이나 이론에 열변을 토하는 모습이 아닌 평범하게 조잘거리면서 자신의 미래를 꿈꾸는 10대 소녀의 모습이 강했다. 저자인 마리가 가지고 있는 기억속의 친구들을 찾아 떠나는 여행에서 과연 이들이 어떻게 변했는가 궁금하면서도 그때의 모습과는 사뭇 다르게 변해있을 순간에 실망하는 것은 아무 소용도 없음을 중얼거려본다.

과거의 기억 속에서 찾았던 그때의 친구들이 마리에게 갖는 의미는 무엇일까? 자신의 생의 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었던 경험의 파편으로만 기억된다면 결코 그들을 찾는 따위의 일들은 하지 않았을 지도 모른다. 프라하의 시대적 상황을 생각하면서 그 순간에도 순수함을 간진하고 꿈을 간직했던 소녀시대의 향수를 찾고 있었는 지도 모르겠다. 현실이 냉혹하다고는 하지만 환상적이지 않은 모습으로 차곡히 쌓이는 과거가 될 수 있기에 동감하는 생이 되지 않을까 싶다. 마리의 이야기를 들으면서 나의 옛친구에 대한 향수와 현재의 그들을 궁금해하고 그리워 하는 것은 독자의 자연스러운 발상이 되지 않을까 생각된다.

저자의 약력을 보니 52세가 되어서 <프라하의 소녀시대>를 발간했다.  그로부터 얼마지 않아 2006년에 난소암으로 세상을 떠난 마리는 이미 자신의 소녀시대를 마음 속에 담아가기 위한 준비를 하고 있었는가 보다..
시대와 장소를 초월해서 10대가 갖는 남다른 의미는 시간이 흐른 다음의 황혼의 시기에서도 가장 큰 그리움이 될 수도 있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