밤의 괴물
스미노 요루 지음, 양윤옥 옮김 / ㈜소미미디어 / 2018년 6월
평점 :
품절


 

[밤의괴물-학교 문제를 다룬 일본소설]

 

 

 

'너의 췌장을 먹고 싶어'제목만으로도 뭐 이런 제목이 다 있나 싶어서 관심있게 봤던 책, 그리고 영화까지 보면서 훌쩍였던 기억이 있다. 왜 하필이면 췌장을 먹고 싶다고 했는지 너무 특이했던 것도 나라마다의 풍습때문이라는 것도 슬쩍 알면서 기억에 남았던 작품이었다. 작가의 다른 작품 <밤의 괴물>이 나왔다는 소식을 들으면서 학교문제를 다뤘다고 해서 의아했다. 전작과는 너무 다른 분위기가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하면서 말이다.

 

학교 왕따 문제를 대할 때 마음에 참 불편하다. 머리로 아는 것과 실제로 부딪쳐 보는 건 상당히 다른다. 아주  사소한 일로 그저 장난일 뿐이라는 말이  상대에게 괴로움이 된다면 그건 결국 폭력이 된다. 폭력이냐 아니냐를 떠나서 동일한 공간해서 생활하지만 다른 영역에 있는 듯한 괴로움이 더 크다.

 

이 책에서는 밤이면 괴물이 되는 독특한 소년 아다치(잇치)가 등장한다. 낮에는 멀쩡하다가 밤이면 괴물로 변하는 소년. 왜 하필 아무도 보지 못하는 밤에 괴물이 될까 이에 대한 궁금증은 소설을 읽다보면 조금씩 그 의문이 풀리기도 한다. 아무도 모르게 밤이면 괴물이 되어서 밤을 즐기는 소년은 예상치도 못하게 한 소년의 눈에 뜨이고 만다. 바로 학교에서 모든 이의 왕따가 되고 있는 소녀 야노.

 

처음 야노가 아다치에게 건넨 대사를 보고 인쇄가 잘못된 줄 알았다. 아버지 가방에 들어가신다 처럼 띄어쓰기가 엉망인 소녀의 대사는 한마디로 얼마나 말을 더듬고 표현함에 서툰가를 나타내는 한 방법이었다. 여하튼 이 아다치와 야노는 비밀을 지치는 대신 밤이면 함께 모여 학교에서 밤의 휴식시간을 즐기게 된다,

 

낮에는 평범한 소년. 그리고 야노를 무심한듯 괴롭히는 무리를 수긍하는 무리속의 일인이 되는 아다치. 소설에서는 늘 웃는 모습, 그리고 다소 어벙하고 답답하기까지 한 소녀 야노가 주위의 아이들로부터 어떻게 고통받는가 드러난다. 낮의 고통때문인가? 야노는 밤의 시간을 '휴식시간'이라고 표현한다. 무엇으로부터의 휴식인지 생각해 본다면 참 안쓰럽기 그지없다. 낮에 아이들로부터 받은 괴롭힘에 대한 휴식일까 하는 생각이 문득 든다. 그러면서도 밤의 휴식시간에는 낮의 이야기를 허락하지 않는 야노에게서 뭔가 지키고자 하는 마음까지 느껴진다.

 

그런데 왜 밤의 괴물일까? 학교에서 무언의 수긍을 하면서 이도저도 아닌 편에서 눈에 뜨이지 않기를 바랐던 아다치는 왜 밤이면 괴물로 변하는 것일까? 낮의 아다치와 밤의 아다치 과연 괴물은 누구인가 질문을 던져보고 싶다.

 

전작과는 다른 느낌 그러나 내가 아닌 누군가의 속이 되어보고 그 아픔이나 괴로움에 공감하고자 하는 저자의 의도는 맥이 통하는 느낌도 든다.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솔직하게 작성한 글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