닥터키친의 맛있는 당뇨 밥상 - 대한민국 No. 1 당뇨 식이요법 ‘닥터키친’의 소문난 레시피
닥터키친 식이연구소 지음 / 비타북스 / 2018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제대로 알고 맛있게 준비하는 당뇨 밥상 레시피>

 

 

당뇨에 대해서 얼마나 알고 있을까? 주위에 당뇨를 앓고 있는 사람을 쉽게 볼 수 있고 우리 식구 중에도 당뇨를 앓고 있는 사람이 있답니다. 그런데 정작 당뇨병에 대해서 알고 있는 것도 없고 어떻게 식단을 짜야 하는지도 잘 몰라요. 대부분 당뇨라면 짜거나 달지 않고 심심하게 먹어야 한다는 정도만 알고 있죠. 저도 딱 그 정도만 알아요. 당뇨밥상이라고 하면 정말 맛없는 밥상, 그러니까 이것저것 만들어야겠지 라고 짐작만 했다면 이번 <닥터키친의 맛있는 당뇨 밥상>에서 편견을 깰 수 있답니다.

 

우선 <닥터키친의 맛있는 당뇨밥상>은 지은이가 닥터키친 식이연구소랍니다. 당뇨식을 연구,개발하고 있는연구기업이라고 하네요. 한 사람이 아닌 연구소에서 다년간의 연구와 성과를 비교해서 레시피를 알려주니 믿을만 하죠? 우선 무엇보다 마음에 드는 건 레시피 이전에 당뇨에 대한 잘못된 상식을 제대로 고쳐주고 정보를 알려준다는 점에서 이 책의 장점을 꼽고 싶네요.

우선 당뇨라고 하면 짜게 달게 먹지 않는 것, 이라고만 생각했다면 이제는  생각을 달리 해야 한답니다. 우선 가장 놀라운 것은 짜게 먹지 않는 것도 중요하지만 한국사람들은 짠 것보다 탄수화물을 더 주의해야 한다는 점이에요. 탄수화물이 주식이기 때문에 식이섬유를 포함한 곡류를 위주로 먹어야 한답니다. 백미보다 현미. 딱 이정도만 알고 있엇다면 지금 바꾸세요. 현미는 백미 도정을 덜 한 정도로 식이섬유를 포함하지만 현미보보다는 팥,귀리, 렌틸콩, 퀴노아, 율무 등을 섞어서 먹는 게 훨씬 좋다고 해요. 백미를 줄이고 이런 것들로 채워서 밥을 먹도록 하면 좋답니다.

그리고 과일은 정말 주위할 대상, 그래서 식후 과일은 되도록 피하고, 식후 간식도 피하는 편이 좋다고 해요. 짠맛을 경계하기 위해서는 국물요리 위주인 우리나라 식단에서 국물 대신 건더기 위주로 먹기, 고추장은 곡류로 만들기 때문에 되도록이면 피하고 고추가루와 양파로 맛내기, 설탕 대신에 저열량감미료인 알룰로스, 타가토스, 에리스리톨 이용해서 단맛 내기. 그리고 또 하나 볶음 묘리를 할 때 사용하는 기름은 포화지방이 적은 것으로 선택해요. 코코넛 오일이나 팜유는 피하고 들기름, 올리브유, 카놀라유를 선택하면 좋다고 해요. 고기는 포화지방이 적은 부위 선택이 중요, 한국인이 좋아하는 갈비, 삼겹살은 피하고 뒷다리 앞다리살이나 치마살, 사태 등이 좋다네요. 불고기를 할 때는 단맛을 과일로 내지 말고 양파를 이용하는 것도 아주 좋은 방법이구요.

매일 먹고 사는 것에는 습관이 정말 중요해요. 아무렇지 않게 하던 것에서 이 습관을 바꾸는게 힘들지만 또한 바꾸어 길들이기만 하면 건강에 정말 좋다는 사실. 저도 이 책을 보면서 당뇨에는 단짠을 피해야지 했던 단순한 생각에서 정말 많이 배웠어요.

 

그리고 다양한 레시피를 통해서 맛없는 당뇨식에서 맛있는 당뇨식단을 만들 수 있다는 사실도 배웠답니다. 자장면이나 쿠키까지 가능하다는 사실~레시피를 어떻게 하는가 궁금하시다면 책을 한번 보시면 정말 도움이 될 거에요. 친정부모님이 직접 하시기는 힘드니 시간내서 기본적인 양념이나 재료, 무엇보다 밥을 할 때 넣어 먹을 잡곡을 얼른 장만해 드려야겠어요. 당뇨식레시피는 물론 당뇨에 대해서도 많은 걸 배운 책이랍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