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우리가 누리는 자유 통치론 나의 고전 읽기 5
박치현 지음, 존 로크 원저 / 미래엔아이세움 / 2006년 10월
평점 :
품절


주저주저 하면서 몇 번을 들었다 놓았다 하는 책이 바로 [통치론]이었다.

어려운 사상가들의 이야기에 익숙하지 않은 것도 있었고 세계사에 너무 약하다는 것도 있었고..

무엇보다 [통치론]의 주체를 외곡해서 알고 있었던 점이 가장 큰 요인이었다.

솔직히 고백하건데 [통치론]의 주체를 일반 시민이 아니라고 오인하고 있었다.

 

책의 제목에서 존 로크의 [통치론]도 아니고 "지금 우리가 누리는 자유...통치론"이라하여 제목에서 얻는 호기심은 컸다.

우리가 누리는 지금의 자유에 얼마나 기인한 책인지 과연 그 먼 옛날에 지어진 이 책이 지금의 자유를 선사할 만큼의 사상이 통하는 책이었는지 궁금증을 안고 어렵사리 책을 펼쳤다.

 

모두 3부로 구성된 책에서 얼굴에 해당하는 1부의 내용은 세계사-영국사-에 대한 이야기라서 지루한 감이 있었다. 통치론의 배경을 이해하기 위해 당시의 시대적 배경을 이해하는 부분이 솔직히 쉽지만은 않았다. 고등학교에서 배웠던 암기위주의 내용이 이해를 뒷받침하기에는 역부족인 탓도 있다.

하지만 약간의 배경지식만 습득하면 2부와 3부에서는 통치론의 참맛을 느낄 수 있다. 2부에서부터 지루할 것이라고 생각했던 통치론에 대한 생각이 여지없이 무너지면서 존 루크가 주장했던 [통치론]과 이에 가장 대립되는 [왕권신수설]에 대한 하나하나의 반박을 흥미롭게 읽을 수 있다. 당시는 인간이 가진 모든 것의 주체는 나 자신이 아닌 최고 통치자인 왕에게 있었다. 개인의 생명과 자유와 소유물을 포함한 모든 소유권은 자신이 아닌 왕에게 있었던 것이 바로 존 로크가 살았던 시대이다. 존 로크의 [통치론]에서 가장 빛나는 부분은 왕권신수설에 대한 반박을 담은 1권의 내용이 아니라 본격적인 [통치론]의 의미를 다룬 2권에 있다. 로크의 통치론에서 어떤 부분이 그렇게도 후세에 강한 영향을 주었을까? 그것은 바로 사적 소유권을 아주 합리적으로 설명하고 있다는 부분이다. 소유권의 문제를 풀기위해서 로크가 가설로 내세운 잠재적인 전쟁상태인 자연상태를 설명하기는 힘들지만 아담의 자손으로 신에게 모든 것을 물려받은 왕의 소유권을 인정하지않고 그 근본에 의의를 제기하면서 결국 모든 자연에 각자의 노동을 통해서 창출한 산물에 대해서는 개인 그 소유권을 갖는 것이 타당함을 주장하고 있다. 그의 이같은 주장을 환영할 사람은 바로 노동의 댓가없이 자신의 생명까지 왕의 손에 들려주었던 보통의 시민들이고 가장 반발한 사람은 다름 아닌 권력층에 있는 사람들이다.

로크의 [통치론]에서 가장 인상적이었던 부분은 바로 소유권은 노동에 의해서 개인에게 돌아가야 한다는 점과 잘못된 정부에 대해서는 인민이 대하할 수 있고 통치자는 절대권자가 아니라 적합한 위탁자임을 명시하는 부분이었다. 물론 지금에야 개인의 존엄성을 인정하는 시대이므로 당연한 말일지 모르나 당시에는 정말 획기적인 사상이 아닐 수 없을 것이다.

로크의 개인의 소유권 인정이 점차 물직적인 부분에 대한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개인의 이득과 이로 인해 부의 독점이 창출될 지도 모른다는 모순을 안고는 있었지만 분명 민주주의의 기반이 되었음은 자명한 사실이다. 노동에 허덕이고 허탈감에 젖어있던 사람들에게 노동을 통해서 자신의 부를 창출할 수 있다는 말은 희망의 실마리가 되기에 충분했고 자신의 배만 채우는 왕을 뒤엎는 프랑스 혁명의 씨앗이 되기에 충분했던 것이다.

지금 우리가 누리는 자유..라는 소제목이 의미하던 부분에 대한 이해는 책을 읽으면서 로크의 [통치론]을 하나씩 습득하면서 수긍하게 되는 부분이었다. 절대적인 가치와 사상은 어디에도 존재하지 않는다. 변화되는 사회에서 예상치 못한 모순을 발견하되기도 하고 그 모순은 다음 사상가에 의해서 반박되고 새로운 사상을 태어나게도 한다. 분명한 것은 이런 사상의 발전과 사람들의 인식의 변화를 통해서 세상은 발전적인 방향을 향해서 계속 몸부림을 치면서 변화한다는 사실이다. 로크의 [통치론]을 통해서 지금 우리가 누리는 자유의 끈을 잡은 느낌이 들기도 한다. 내가 누리는 자유..그것은 나의 이성의 힘으로 인한 가장 큰 테두리를 안에서 누려진다는 것도 분명히 느끼게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